현직 시의원에 대한 자치단체장의 비서실장 영입 추진이 논란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전북 전주시가 최근 현직 시의원을 새로운 비서실장으로 영입하기 위한 작업을 물밑에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역정가에서 적지 않은 파장을 불러오고 있다.
18일 시에 따르면 이르면 올해 안에 현 비서실장이 승진으로 자리를 비우게 되면 그 자리에 현직 시의원을 영입하는 방안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만약 시의 이 계획이 성사될 경우 도내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전무후무한 일로 기록된다.
그동안 일부 자치단체에서 전직 지방의원을 비서실장 등으로 영입하는 사례가 있긴 했지만 현직 시의원이 의원직을 사퇴하고 자치단체로 발을 들여놓는 경우는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시는 최근 특정인사를 통해 A시의원에게 비서실장을 맡아 줄 것을 제의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제안을 받은 A의원은 이를 놓고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A의원은 뉴시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얼마 전 한 인사가 송하진 전주시장의 의중을 전달해 온 것은 사실이다"며 "언제까지 시한을 두고 비서실장직 수락 의사를 밝혀달라고는 밝히지 않은 상태다"고 말했다.
비서실장직 수락 여부에 대한 질문에 대해 A의원은 "현재 그 어떠한 결정도 내리지 못한 채 고민 중에 있다"면서 "주민들에 의해 선출된 시의원인 만큼 이 제안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있다"고 현재 입장을 나타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미 A의원에 대한 비서실장 영입이 사실상 마무리 된 상태로 의원직 사퇴시점과 비서실장 취임시점을 내부적으로 조율 중에 있다는 설이 파다하게 흘러나오고 있다.
현직 시의원에 대한 비서실장 영입과 관련한 설왕설래가 이어지자 의회 안팎에서는 선출직 의원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한 시의원은 "의원직 신분을 버리고 비서실장행을 선택하는 것은 개인의 선택이지만 주민들의 선택에 의해 뽑힌 시의원이 집행부의 간부로 자리를 옮긴다는 것은 유권자에 대한 배신행위로 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한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는 "어떤 이유에서든지 주민과 약속을 져버리고 의원직을 사퇴한다는 것은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것일뿐 아니라 행정의 감시자 신분에서 행정을 대변한다는 자체가 사리에 맞지 않다"며 "특히 의원직 사퇴로 인한 보궐선거 비용 등 혈세낭비를 스스로 부추기는 행위다"고 규정했다.
한편 A의원이 만약 내년 3월31일 이전까지 의원직을 사퇴할 경우 A의원 지역구에 대한 보궐선거는 4월29일 치러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