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병설이 나돌고 있는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건강상태가 좋으며 미국, 일본과 직접대화를 원하고 있다고 마이니치 신문이 12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건강이상 소문이 유포되기 시작한 작년 9월 방북해 그를 직접 만난 이탈리아 실업가겸 경제학자 쟌칼로 에리아 바로리(68)는 로마에서 마이니치와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바로리는 김 위원장의 건강상태가 좋다며 중병설을 전면 일축하는 한편 김 위원장의 '메시지'로 북한이 미국, 일본과의 직접대화를 구하고 있다는 사실을 전했다. 그는 작년 평양에서 열린 북한 정권 수립 60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김 위원장을 면회했다. 바로리는 김 위원장에 관해 "이전보다 젊어졌으며 강력히 북한을 통치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의 김 위원장이 가짜라는 설에 대해선 "전혀 사실무근이다, 그는 실리적인 사람이기 때문에 그런 쓸떼 없는 짓은 하지 않는다"고 부정했다. 바로리는 북한의 대미 관계와 관련해 "북한이 여하튼 양자 간 교섭을 바라고 있다"며 "김 위원장이 2000년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을 초대하려 했다. 민주당에 대한 기대가 높아 (만일 대선에서 버락 오바마 민주당 후보가 당선될 경우)핵문제와 금융 제재에서 미-북한 협상이 일시에 진전되기를 희망했다"고 전했다. 그는 일-북한 관계에 대해서는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방북으로 납치문제가 크게 진전된 것처럼 김 위원장이 바라는 것은 정상급 대화다. 다만 김 위원장에는 아직도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연관된 정서가 남아 있다. 일본 측은 결코 이를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바로리는 75년 이탈리아 국영방송의 베이징 지국 개설을 도왔을 때 김일성 당시 주석과 알게 됐다. 그는 김일성 사망 후 처음으로 94년 7월 평양에서 김 위원장을 만난 외국인으로 알려졌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