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현 검사가 중국 상하이에서 성차별로 피해를 당하고 있는 여성들의 아픔에 대해 강연해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용기를 내고 한국 사회에 '미투'(#Me Too·성폭력 피해고발, 나도 당했다)운동을 촉발하게 만든 서지현 검사는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겪어야 하는 성폭력과 차별이 사라져 더는 미투 운동이 필요 없게 될 날이 오기를 소망했다.서 검사는 6일 중국 상하이 교민들을 상대로 열린 강연에서 이같이 말하며 "미투가 번져가는 세상이 아니라 미투가 필요 없는 세상이 다시 제가 꾸는 꿈"이라고 밝혔다.그는 '한국의 페미니즘' 주제의 강연에서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는 여성들이 단지 성별 탓에 차별받지 않을 권리를 누리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서 검사는 "여성이라는 이유로 죽거나, 성폭력을 겪지 않는 세상이 오기를 희망한다"며 "우리 자녀들이 그들의 재능과 노력만으로 평가받는 세상에서 살고 싶다"고 강조했다.그는 "한국에서는 페미니스트라고 하면 굉장히 과격한 사람이고 여성 우월, 남성 혐오를 얘기하는 것처럼 이해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오해를 불식시켰으면 한다"며 "페미니즘은 남녀가 동일하게 같은 권리를 누리자는 것"이라고 지적했다.최근 한국 사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이슈인 배우 고(故) 장자연 사건이나 김학의 전 차관 사건, '버닝 썬' 사건과 관련, 서 검사는 "돈과 사회적 지위를 이용한 여성에 대한 성폭력 사건이라는 공통점이 있다"면서 "이런 현실 때문에 한국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을 죽이지 말라', '성폭력을 가하지 말라고'고 외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서 검사는 자신의 미투 폭로 이후 1년여의 세월이 지나고 가해자인 안태근 전 검사장이 1심 재판에서 유죄를 선고받고 법정구속 됐지만 '친정'인 검찰 조직의 변화가 느껴지지 않는다고 아쉬워하기도 했다.그는 "여전히 가해자나 (검찰 조직의) 누구로부터 어떠한 사과도 받지 못했다"며 "저를 지금 버티게 해 주는 것은 많은 분의 응원과 공감 덕분"이라고 토로했다.서지현 검사는 지난2018년 1월 29일 JTBC '뉴스룸'에 출연해 손석희 앵커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검찰 내에 성추행이나 성희롱 뿐만 아니라 성폭행을 당한 사례도 있다"고 밝혔다.서 검사는 "주위에서 피해자가 직접 나가서 이야기를 해야만 너의 진실성에 무게를 줄 수 있다고 이야기를 해서 용기를 얻어서 이렇게 나오게 되었다"면서 "성폭력 피해자가 겪는 자책감, 결코 당신의 잘못이 아니다라는 말을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서 검사의 이날 미투 이후 극단 미인 대표 김수희 연출가가 이윤택 감독에게 성추행 당한 사실을 폭로하면서 사건이 불거 졌고 연극계에 '미투'(me too. 나도 당했다) 폭로가 이어지며 이후 정치 연예 등 사회 전반으로 이어졌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