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화된 경기침체로 인해 국민들 중 20대는 외식비를, 30대는 여가활동비를, 40대는 의복구입비를 우선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수도권 520여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최근 소비행태의 변화와 시사점'에 따르면 20대 가구는 외식비(37.3%)와 식료품비(30.0%)를 우선적으로 줄였으며, 30대는 문화·레저비(28.1%)와 의복구입비(25.0%)를, 40대는 의복구입비(23.7%) 및 외식비(19.0%)를 줄인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20대 가구 중 문화·레저비를 줄였다는 응답자는 2.7%에 그쳤으며 30대는 경조사비를 줄였다는 응답이 0.4%, 40대 가구에서 자녀과외비를 줄인 가정은 1%에 불과했다.
전체 연령대 대상으로는 의복구입비(20.5%), 문화·레저비(17.2%), 외식비(16.5%) 지출을 줄인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자녀과외비(2.3%), 경조사비(0.9%)는 크게 줄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최근 팍팍해진 살림살이를 말해주듯이 국내 가구들의 77.2%가 1년전에 비해 소비규모를 줄였다고 밝혔으며, 소비규모가 비슷하다는 응답은 21.0%, 늘었다는 응답은 1.7%에 불과했다.
소비를 줄이게 된 원인에 대해서는 가계부채 증가(42.5%)와 근로소득 감소(28.3%), 경기 불안(23.3%)등의 순이었다.
경기가 본격적으로 회복되는 시기에 대해서는 응답가구의 49.3%가 내년 상반기를, 27.0%는 내년 하반기를 꼽았다. 올해 하반기라고 응답한 가구는 9.4%에 그쳤다.
소비 진작을 위해서는 경기가 회복돼야 한다는 응답(31.4%)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근로소득세 추가 인하 등 세제지원(29.3%), 고용안정(18.2%) 등이 필요한 것으로 집계됐다.
1,000만원의 여유자금이 생긴다면 무엇을 하겠느냐는 질문에 먼저 빚을 갚겠다는 응답이 32.5%에 달해 저축을 하겠다(26.0%), 생활비에 보태겠다(21.6%)고 응답한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경기 침체로 국민들의 소비규모가 크게 줄어들었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며 "소비를 늘리기 위해서는 금리 인하, 대출만기 연장 등 가계대출 부담을 완화해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과감한 세제지원을 통해 가처분소득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