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때 이면계약서가 진짜네, 가짜네 요란한 때가 있었죠.
이면계약서가 뭔지 저는 잘 모릅니다.
사전에도 없는 말입니다.
그래서 띄어쓰기규정에 따르려면 ‘이면 계약서’라고 띄어서 써야합니다.
오늘 이야기는 '이면'입니다.
'이면'은 한자로 '裏面'이라 쓰는데요, '裏'는 '속 리' 입니다.
'衣'와 '里'가 합해진 글자인데, '里'는 '올이 고운 천'을 뜻합니다.
그래서??'裏'는 올이 고운 천으로 만든 '속옷'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비슷한 형태의 글자로 '表(겉 표)'가 있습니다.
이 글자는 '衣'와 '毛'가 합해진 글자로 털옷을 표시한 글자인데요,
털옷은 주로 겉에 입으므로 '겉'을 뜻하는 글자가 된 것입니다.
겉과 속이 다른 것을 表裏不同(표리부동)이라고 하죠!!
'이면(裏面)'이란 말은 '속에 감추어진 부분'을 뜻하는 말입니다.
주로 추상적으로 쓰이는 말입니다.
‘이면계약서’란 종이묶음의 속에 적은 계약서를 말할리는 없을 테고, 따로 만든 계약서란 말인 모양입니다.
'이면(裏面)'은 속이나 감추어진 부분만 뜻하는 게 아니라, 낱장의 종이에서는 '뒷면'을 이르기도 합니다.
신어(新語) ‘이면지(裏面紙)’라는 말이 있죠.
수표나 어음의 뒷면에 사인하는 것을 ‘이서’라 하죠?
뒷면에 글을 쓴다는 뜻으로 ‘이서(裏書)’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