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들의 기업호감도가 여전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극심한 경기불황 속에서 지난 상반기에 비해 호감도가 다소 상승, 일자리 창출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5일 대한상공회의소와 현대경제연구원이 전국 성인남녀 2,0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2008년 하반기 기업호감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 국민들의 기업호감지수(CFI)는 100점 만점에 48.1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45.6점에 비해 2.5점 상승한 것으로 대한상의 관계자는 "최근 고용사정이 악화되면서 기업에 대한 일자리 창출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기업호감지수는 기업에 대한 국민들의 호의적 느낌을 지수화한 것으로 ▲국가경제 기여 ▲윤리경영 ▲생산성 ▲국제경쟁력 ▲사회공헌 등 5대 요소 부문과 기업에 대한 전반적 호감도를 합산해 산정한다. 지수가 100점에 가까울수록 호감도가 높고 0점에 가까울수록 호감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지난 2003년 말 조사에서 38.2점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상승해 2006년 하반기 50.2점으로 정점을 기록한 바 있다.
부문별로는 ▲국가경쟁력 강화(68.3점) ▲생산성 향상(62.0점) ▲국가경제 기여(50.7점) 등이 평균을 상회해, 우리 기업의 경쟁력에 대해서는 국민들이 호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사회공헌 활동(38.6점) ▲윤리경영(21.0점) 부문은 평균에 못 미쳐 여전히 기업의 도덕성에 대한 평가가 낮은 것으로 풀이됐다.
기업에 호감이 가는 이유로는 ▲국가경제 기여(38.0%) ▲국가브랜드 향상(32.2%) ▲일자리 창출(25.5%) ▲사회적 책임수행(4.3%) 등을 꼽았으며, 호감이 가지 않는 이유로는 ▲비윤리경영(34.8%) ▲족벌경영(27.1%) ▲정경유착(22.9%) ▲사회적 책임 소홀(14.9%) 등의 응답이 나왔다.
기업 활동의 우선순위를 묻는 질문에서는 '이윤창출을 통한 경제성장 기여'라는 응답이 61.9%였으며 '부의 사회환원을 통한 사회공헌'이라는 의견은 38.1%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