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에 따른 구조조정 여파로 국내 은행들의 부실채권 비율이 3년만에 1%대에 재진입했다.
1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2말 기준 국내 18개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1.11%로 전 분기 대비 0.29%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대내외 경제여건 악화 등으로 신규발생 부실채권이 지난해 3분기 4조5,000억원에서 4분기 9조1,000억원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한 제1차 건설·조선사 신용위험평가 관련 자산건전성 재분류로 신규 부실채권이 1조5,000억원 증가한 것도 한몫 했다.
부실채권 비율은 1999년말 12.9%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해 2005년말 1.22%, 2007년말 0.72%로 바닥을 찍은 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지난해 9월말 0.82%, 12월말 1.11%로 상승 추세다.
이 기간 국내 은행들의 부실채권 잔액은 14조3,000억원으로 2007년말 7조7,000억원보다 2배 정도 급증했다.
은행별로는 7개 시중은행들의 부실채권 비율이 1.16%로 은행권 평균을 넘어섰다. 국민은행이 1.2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한국씨티은행 1.24%, 하나은행 1.20% 등의 순이었다.
6개 지방은행들의 부실채권비율 평균은 1.12%로 대구은행과 부산은행이 1.31%로 가장 높았다. 특수은행의 부실채권비율 평균은 1.02%로 수협이 2.57%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기업은행 1.43%, 농협 1.14% 순이었다.
부문별 기업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중소기업 여신을 중심으로 지난해 6월말 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가계여신(주택담보대출) 부실채권 비율은 전년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양현근 금감원 일반은행서비스국 부국장은 “경기침체 등에 따른 자산 건전성 저하가 예상됨에 따라 감독 당국은 부실 여신의 조기정리와 여신 사후 관리를 강화토록 유도하는 한편 자기자본 확충 등을 통해 부실여신 증가 등에 대비토록 지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정리 실적은 14조원으로 전년 대비 14.7% 증가했다. 정리 방법별로는 대손상각(4.4조원), 담보처분에 의한 회수(3.8조원), 연체이자회수 등 여신정상화(2.7조원), 매각(1.6조원)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