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미국 밸프 제조업체와의 뇌물비리 의혹과 관련해 수사를 의뢰함에 따라 사건을 서울중앙지검 외사부(부장검사 황인규)에 배당하고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고 12일 밝혔다. 검찰은 현재 한수원 측으로부터 문제의 밸브회사와의 거래에 관여한 직원 200여명의 명단을 넘겨받아 자료를 검토 중이다. 검찰은 수사의 필요성이 있는 인원에 한해 계좌추적 작업을 진행하면서 관계자들에 대한 소환 조사도 금명간 실시할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뇌물공여 행위가 미국에서 이뤄져 외사부에 사건을 배당했다"며 "자료 검토 이후 적절한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국 법무부는 캘리포니아 소재 밸브공급사가 2003년부터 5년 동안 한수원을 포함한 8개국 15개의 에너지 관련 회사에 총 162만 달러의 뇌물을 공여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미 법무부에 따르면 공시한 뇌물 공여 사건은 총 두 건으로, 하나는 문제의 밸브 공급사 임원인 마리오 코비노(Mario Covino)가 2003년 3월부터 2007년 8월까지 해외 영업활동을 하면서 총 100만 달러의 뇌물을 공여한 사실을 재판과정에서 인정했다는 내용이다. 뇌물 공여 대상 기업은 브라질, 중국, 인디아, 말레이시아, UAE 등 6개국 12개 기업으로 한국의 한수원도 12개 회사 가운데 하나로 제시됐다. 뇌물 액수는 회사 당 연간 2억 달러에 달했으며, 회사 당 지급된 뇌물총액은 평균 8억 달러에 이른다. 또 다른 뇌물공여 사건은 해당 밸브 공급사 재무당담 이사였던 리차드 몰록(Richard Morlok)이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 동안 4개국 6개의 에너지 관련 회사에 총 62만8000달러의 뇌물을 공여했다는 내용이다. 관련 기업은 중국, 루마니아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기업이며 한국의 한수원도 포함됐다. 한수원이 입수한 리차드 몰록의 재판문서에 따르면 한수원 관계자에게 뇌물을 제공할 목적으로 2004년 한국 계좌에 입금된 금액은 약 5만7000달러 가량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수원은 미 법무부 공시 발표가 있은 직후 곧바로 후속조치에 착수, 2003년 3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문제의 밸브회사와의 거래에 관여한 밸브 구매담당 직원들을 직급별로 확인한 뒤 200명 내외의 관련자를 추려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