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베일에 가려있던 이명우 부부가 그 실체를 드러냈다. 그동안 이명우 부부에 대해서 우리가 알고 있었던 사실은 안동 출신이며 1920년 12월 부부가 함께 독을 마시고 자결 순국했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이를 뒷받침할 만한 자료가 없어 먼 기억 속에 묻어둘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지난달 이명우의 손자 이일환(사진·대구 동구 불로동)과 그가 소장하고 있던 자료가 세상에 드러나게 됐다. 안동독립운동기념관(관장 김희곤)은 3·1만세운동 90주년을 맞아 이들 부부의 자료를 했다. 이명우(1872~1920)는 안동 예안면 부포마을에서 퇴계의 후손으로 태어났다. 그는 보통 선비들과 마찬가지로 가학을 통해 유학자로 성장하였다. 14세에 이르러 봉화 유곡(닭실마을) 안동권씨 권성(1868~1920, 당시 17세)에게 장가를 들었다. 1894년 사마시에 합격해 성균진사가 됐다. 이듬해 1895년 명성왕후가 시해를 당하자 나라 일을 애통하게 여겼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그는 문을 닫고 칩거에 들어갔다. 1910년 끝내 나라가 망하자 근심과 분노로 그의 건강은 더욱 쇠약해졌다. 이때 그는 이미 목숨을 끊어 일제의 침략에 항거하려는 뜻을 품었으나 아직 부모가 살아있어 그 뜻을 잠시 접어뒀다. 1912년 봄, 그는 가족을 이끌고 속리산 갈평리(충북 보은군 마로면)로 이거하였다. 이곳에서 부친이 돌아가시면서 남긴 유언에 따라 충남 대덕군, 진령면. 송정동으로 다시 거처를 옮겼다. 1918년 10월 모친상에 이어 두 달 만인 12월에 광무황제가 붕어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됐다. 이명우는 서쪽을 향해 통곡하고 머리를 풀고 미음을 먹으며 상을 치르고 아침 저녁으로 망곡하며 세월을 보냈다. 그러다가 상기가 끝나는 날에 이르자 자결의 결단을 내렸다. 1920년 12월 20일 저녁 이명우와 권성 부부는 자식들을 물리치고 독을 마시고 조용히 눈을 감았다. 자식들이 가서보니 이미 순절한 상태였고 이들의 머리맡에는 약 사발이 놓여있었다. 이명우는 자결하면서 비통사와 경고 유계를 남겼다. 그가 남긴 글에는 나라를 잃고 10여 년 동안 분통함과 부끄러움을 참았으나 이제는 충의의 길을 가겠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이명우가 가는 길이 ‘충의의 길’이었다면 그의 부인 권성의 길은 충의를 행하는 지아비에 대한 ‘의부의부’의 길이었다. 권성은 남편을 따라가며 네 통의 한글유서를 남겼다. 이 유서 가운데 아들 삼형제와 두 며느리에게 보내는 유서에는 ‘충의의 길’을 따르는 남편을 따라 가겠다는 간곡함이 담겨있다. 임금과 신하사이에 의리가 있듯이 부부사이에도 의리가 있으니 자신은 ‘의부의 길’을 가겠다는 것이다. 윤재철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