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녹색뉴딜’ 사업의 일환으로 ‘4대강 살리기’ 사업과 연계해 추진하기로 한 지방하천의 생태하천 조성사업이 이달부터 우선 50곳의 하천을 대상으로 시작된다. 국토해양부는 지방하천을 홍수에 안전하면서, 문화·생태가 살아있는 친수공간으로 재창조한다는 목적으로 ‘지방하천 생태하천 조성사업’을 추진하기로 함에 따라, 최근 사업 우선순위가 높은 50개 지구(217㎞)를 선정해 이달부터 설계 및 착공 등에 착수하기로 했다고 4일 밝혔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지난해 10월까지 수요조사를 실시해 156개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총 416개(2,031㎞) 지방하천에 대해 생태하천 조성사업 신청을 받았다. 이번에 사업에 착수하는 50개 지구는 지방하천 중에서 홍수방지를 위한 치수사업과 생태환경 정비가 함께 필요한 지구 및 지역주민의 친수공간 활용도가 높은 지구,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은 지구 중에서 선정됐다. 선정된 곳은 ▲부산(수영강) ▲대구(신천) ▲광주(황룡강) ▲대전(대전천) ▲울산(여천천) ▲경기(왕숙천) ▲강원(공지천) ▲충북(무심천) ▲충남(궁촌천) ▲전북(장수천) ▲전남(광양동천) ▲경북(직지사천) ▲경남(위천) 등의 50개 하천이다. 주요 내용은 수질개선 및 홍수방지를 위한 퇴적토를 준설하고 콘크리트 시설물을 친자연형 시설로 교체하는 사업과 둔치 주차장을 습지 등 녹색공간으로 조성해 산책로, 자전거길, 수변광장 등 친수시설 등을 설치하는 사업 등이다. 또 풍부한 수량 확보를 위해 하천유지 용수를 공급하는 사업 및 옛 하천모습 되찾기를 위한 하천물길 복원 사업, 생태숲 조성과 연계한 하천정비 사업 등이 있다. 지방하천 생태하천 조성사업은 국가에서 사업비의 60%를 지원하고 실질적인 공사는 지자체가 직접 시행하는 사업인 만큼, 지역 업체의 참여기회가 대폭 확대돼 지역의 신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국토부는 이번에 착수하는 50개 지구 외에 지자체에서 신청한 나머지 지구에 대해서도 오는 5월까지 사업우선순위 및 지구별 기본계획을 마련해 연차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