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최초 사찰 흥륜사(興輪寺)터가 학계의 추정에 따라 경주공고 일대임을 뒷받침하는 유력한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됐다.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이영훈)은 경주공고 교내 배수로 공사를 중 수습한 기와 유물을 세척하다 '興輪寺'(흥륜사)로 추정되는 명문(銘文)을 새긴 신라시대 수키와 조각을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이 수키와 조각은 10.7cm × 5.7cm 크기로 볼록한 등 쪽에 세로로 ‘○(王?)興○’ 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박물관은 '興'자는 최근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발굴 조사한 부여 왕흥사지 출토 기와에 쓴 '興' 자와 거의 동일하다고 말했다.
나아가 '興'자 위와 아래에 쓴 글자는 일부분만 남은 까닭에 정확한 판독이 어렵지만 각각 '王'과 '輪'으로 추정된다고 박물관은 덧붙였다.
윗 글자는 아랫부분만 'ㅗ' 형태로 남아 '王'자로 추정할 수 있으며 아랫글자는 앞 부분이 깨져 나갔지만, 그 온전한 글자를 '輪'으로 추정하는 데 그다지 무리는 없다고 박물관은 말했다.
따라서 이 기와에 새긴 원래 명문은 '大王興輪寺'인 것으로 추정되며, 이 이름은 바로 진흥왕 5년(544)에 신라가 최초로 건립한 사찰인 흥륜사를 지칭할 공산이 매우 크다고 박물관은 설명했다.
이번 명문 기와 발견은 신라 최초의 사찰이자, 황룡사 창건 이후에도 신라 왕실의 절대적인 후원 아래 막강한 위광을 누린 흥륜사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결정적인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흥륜사 위치를 두고 학계에서는 경주공고 남쪽 800m 지점에 위치한 지금의 흥륜사와 경주공고라는 주장이 맞서 있지만, 후자로 보는 견해가 더 많다.
박물관은 이 외에도 '○○寺'라는 글자를 적은 암키와 조각(10.5cm × 10.7cm)도 확인했으나 '寺' 바로 앞 글자는 남아 있는 흔적으로 보아 '興'일 가능성이 있으며, 이렇게 되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보이는 신라 초기 사찰인 '영흥사'(永興寺)와의 관련성도 생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물관은 “이번 조사 성과로 볼 때 경주공고 부지 전체에 대한 본격적인 발굴조사가 이뤄져야 하며, 그 결과에 따라 이 일대에 대한 사적 지정 등이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 된다”고 덧붙였다.
김무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