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는 경기 호·불황에 따른 소비자의 실제 소비량 변화를 지수화한 ‘이마트 지수’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마트 지수란 전국 120개 점포 중 외부 상황 변화가 적은 50개 표준 점포를 선정해 이곳에서 판매하는 476개 상품군의 분기별 소비량 패턴을 분석,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증감 여부를 지수화한 것이다. 신세계에 따르면 이마트 지수는 실제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계(家計) 사정을 반영해 소비자가 직접 체감하는 경제상황을 현실에 맞게 가늠할 수 있다. 또 상품 가격의 가중치를 반영했기 때문에 경기 호·불황 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 할 수 있다. 신세계 관계자는 “기존 매출액 중심의 신장률 지수의 경우 실제 판매량은 줄었지만 물가인상 등의 변수로 소비자 경기의 호·불황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웠다”며 “이마트 지수는 실질 소비량 변화가 구체적으로 지수화돼 보다 정확하게 소비자 경기를 판단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마트 지수는 100점을 기준으로 100보다 높으면 지난해보다 소비자 경기가 호전된 것으로 판단하고 100보다 낮으면 악화된 것으로 분석한다. 이같은 이마트 지수 개발을 통해 신세계가 지난 1월과 2월의 가계 생활지수를 분석한 결과, 94.3으로 나타나 지난해 1분기 102.5보다 8.2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이마트 지수는 지난해 1분기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분기에는 99.6, 3분기에는 96.0, 4분기에는 95.1로 꾸준히 하락해 소비자들이 지갑을 점점 더 닫고 있음을 시사했다. 특히 의·식·주·문화 4가지 생활지수를 별도로 분석한 결과 문화 생활지수와 생활지수가 각각 88.7, 91.2로 낮았다. 반면 식과 주의 생활지수는 96.4, 95.2를 기록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지수가 가장 낮은 의 생활지수와 가장 높은 식 생활지수를 비교하면 5.2포인트나 차이를 보인다. 주 생활지수도 생활지수와 비교하면 4포인트나 높았다. 신세계 관계자는 “미국발 경기 침체가 본격화된 지난해 3분기 96.0을 기록한 이후 하락폭이 더욱 커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는 등 소비자들이 직접 느끼는 경기는 더욱 악화되고 있다”며 “식과 문화의 생활지수에 비해 의와 문화 생활지수가 더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기호상품 중심으로 소비가 더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