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불법 유통 중인 기준 이하 부정·불량식품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최고 7배나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25일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지난해 초부터 올 들어 2월 현재까지 식품안전자신고센터에 접수된 불만신고 건수가 6.6% 이상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온라인 신고로 확대 개편된 지난해 10월까지 총 신고건수는 2,066건으로 이 가운데 206건이 당국에 접수됐다. 하지만 그해 11월 이후 올 들어 2월까지 총 신고건수는 5,498건으로 2배 이상 급증했으며 접수건 역시 1,375건으로 7배 가까이 급증했다. 지역 식약청, 관계당국, 시도 등 유관기관이 운영하는 민원접수를 포함할 경우 소비자 불만은 더 늘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해 10월까지 13.7%였던 무신고 영업행위 신고건수도 올 들어 1월에서 2월 사이 불과 두달 만에 75.1%로 6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소비자 이물 신고 현황(총 856건)을 보면 벌레가 26.9%(230건), 곰팡이 12.7%(109건)순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금속 6.2%(53건), 플라스틱 4.7%(40건), 비닐 2.7%(23건), 유리 0.8%(7건), 기타 46.0%(394건)등 순이다. 이 같은 문제는 제조단계 34.9%(299건), 소비단계 32.9%(282건), 유통단계 12.1%(104건)에서 각각 혼입된 것으로 조사돼 신중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밖에 오인 신고 (61건), 허위신고 (1건), 신고취소·폐업·조사 불응 등 (109건)도 나오고 있다. 식약청 관계자는 "최근 식품위생법 개정으로 이물 보고가 의무화됨에 따라 관리 체계를 정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