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에 내성이 생겨 치료가 잘 안되는 일명 '슈퍼 결핵' 환자가 국내에 238명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소속 민주당 최영희 의원은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광범위내성결핵(슈퍼결핵)은 항결핵제인 아이나와 리팜핀뿐만 아니라 2차 항결핵제 주사제와 퀴놀론계까지 내성이 생긴 결핵을 말한다.
또 지난 해 다제내성 결핵 치료를 받은 환자는 2262명으로 집계됐다. '다제내성 결핵'은 결핵약 중 가장 기본적인 치료제인 아이나와 리팜핀에 내성을 보이는 결핵을 말한다.
연령대별로는 가장 왕성하게 경제활동을 하는 30대가 24%(569명)로 가장 높았다. 이어 20대가 20.2%(482명), 40대 20%(478명), 50대 15.9%(379명), 60대 11.8%(282명), 70대 이상 6.3%(151명) 순이었다.
지난 해부터 다제내성결핵과 광범위내성결핵에 대한 건강보험 상병코드가 부여된 이후 환자규모가 진료기록으로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일반 결핵의 경우 치료기간은 6개월 정도인데 반해 다제내성 및 광범위내성 결핵은 18개월 이상이며, 비싼 약값 등으로 인해 치료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다제내성 결핵은 환자 1명이 10명~15명을 감염시킬 수 있는 등 호흡기 감염을 통해 타인에 확산될 우려가 큰 것으로 전해졌다.
최영희 의원은 "국가가 결핵환자 진료비를 모두 부담해 진료비가 없어서 결핵치료를 받지 못하는 국민이 없도록 해야 한다"며 "향후 결핵예방법을 개정해 저소득 취약계층 결핵환자들의 생계 문제를 해결하고, 학생과 교직원에 대한 결핵 건강검진이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