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폐광산 지역과 산업단지 인근에서 생산된 농산물 가운데 45.5t이 중금속 허용 기준을 초과해 오염된 것으로 드러났다. 7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농식품부와 환경부, 지식경제부 등이 137개 폐금속 광산과 산업단지 주변에서 재배된 쌀, 배추, 옥수수 등 10개 농산물 2,660건을 대상으로 오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조사 대상 농경지는 560.9ha(전체 농경지 178만2,000ha의 0.0005%)로 이 가운데 오염농산물이 재배된 농경지는 그중 9.0ha(오염농경지의 1.6%), 부적합 물량은 45.5t, 부적합률은 1.7%인 것으로 조사됐다. 품목별로는 쌀이 36건, 43.7t으로 가장 많았고 대두(콩) 6건(1.1t), 고구마 2건(0.6t), 팥 1건(0.08t), 파 1건(0.001t) 순이었다. 쌀의 카드뮴 허용치는 ㎏당 0.2ppm이며 오염된 쌀의 카드뮴은 허용치에서 4.9배를 초과한 0.98ppm이었다. 콩의 허용치는 ㎏당 0.1ppm이며 최고 3.7배를 초과한 0.37ppm인 것으로 조사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해마다 전체 폐광산 지역 토양 오염 농경지에 대해 수확 전 전수조사를 하고 있다”며 “오염 농산물이 나오면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전량을 수매하고 폐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폐금속 농산물 오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2006년 관계부처(농식품부, 환경부, 지경부, 식약청) 합동으로 종합대책을 수립해 오염우려 폐금속 광산 418곳의 인근 농지에 대해 중금속 오염 조사를 벌이고 있다. 부적합 물량은 2006년 143.8t(11.9%), 2007년 142.5t(2.0%), 2008년 45.5t(1.7%)으로 꾸준히 낮아지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