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청도군과 포항시 간의 새마을운동 발상지 원조 논란과 관련 청도군의 손을 들어 주었다. 9일 경북도는 '새마을운동 37년사'연구용역을 통해 경북도의 새마을운동사에 최근 논란이 일었던 발상지를 청도군 청도읍 신도1리로 공식 발표했다. 이번 연구결과 1970년 제창된 신도1리의 '새마을가꾸기사업'이 '새마을운동'으로 전개되었다는 결론을 내고 새마을운동의 발상지는 '청도군 청도읍 신도1리'라고 밝혔다. 원조 자리를 두고 대립을 보였던 '포항시 기계면 문성리'는 새마을가꾸기사업이 1972년 새마을운동으로 전국으로 확산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한 성공사례이며 새마을운동의 모범마을로서의 역할과 위상을 가지는 곳이라고 잠정 결론냈다. 도는 새마을운동 발상지 규명은 대통령비서실·내무부 등의 정부 공식 문헌, 당시 새마을 관련 행정자료와 새마을지도자의 회고록, 포항시와 청도군이 자체 시행한 연구용역보고서 및 발상지 관련 의견서 등을 취합해 종합 검토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특히 정부 공식 간행물이 모두 새마을운동의 출범을 1970년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점과 1970∼71년 새마을가꾸기사업 당시 포항시 기계면 및 문성동 관계자들이 청도군 신도1리를 견학한 후 새마을가꾸기사업을 확장해 추진했다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청도군의 주장이 타당한 것으로 평가했다. 박영근 경북도 새마을운동 37년사 편찬위원장을 비롯한 편찬위원들이 최종 심의함으로써 이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게 됐다. 당초 새마을운동 발상지는 청도군 신도1리로 알려져 있었으나 포항시가 2007년 2월께 '1971년 9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시장,군수 회의에서 기계면 문성리가 어려운 살림 속에서 기적적 발전을 이뤘는데 시장,군수들은 임지를 문성리같은 새마을로 만들라고 지시했다'는 내용을 근거로 원조를 주장하면서 두 자치단체간에 대립관계가 이어졌었다. 한편 김관용 도지사는 "새마을운동 변천과정의 정리를 통해 새마을운동을 재조명하고 21세기 새마을운동을 추진할 매뉴얼로 활용하기 위해 2007년 9월 경운대 새마을아카데미에 의뢰해 새마을운동 37년사를 발간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종구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