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에 따른 소비자의 소비량 변화를 지수화한 ‘이마트 지수’가 3월 소폭 상승하면서 소비경기가 회복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조심스레 나오고 있다.
9일 신세계 이마트에 따르면 지난 1분기(1~3월) 전국 50개 표준 점포에서 2,300만명에게 판매된 1억3,900만개 상품을 분석한 결과 3월 지수가 95.6으로 1~2월 지수보다 1.3포인트 상승했다.
1분기 지수는 94.8로 지난해 2분기 이후 4분기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으나, 하락폭은 0.3포인트로 점차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신세계 측은 소비자 경기가 저점을 지나 회복하고 있다는 조짐도 서서히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마트 지수는 이마트에서 판매하는 476개 전 상품군의 분기별 소비량 변화 패턴을 분석,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증감 여부를 따져 소비자 경기를 판단하는 ‘실질 소비량 측정 지수’이다. 100을 기준으로 100 이상이면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소비가 호전, 100이하이면 악화된 것을 나타낸다.
이번 1분기 4대 가계 생활 지수에서는 가전, 레저 등 문화생활 지수가 전분기보다 상승했으며, 식생활과 주생활 지수 역시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의생활 지수는 하락 추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4분기 84.9를 기록했던 가전 지수는 이번 1분기에는 85.1을 기록, 소폭이나마 상승세로 전환됐다. 특히 TV, 세탁기 등 대형가전 상품지수가 상승했다는 점에서 소비 심리 회복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다.
골프, 등산, 낚시 등 레저용품 지수도 104.9를 기록, 전 분기보다 8.3포인트 상승했다. 레저 용품 가운데 주요 품목 지수들이 상승했다는 점도 향후 경기 회복에 청신호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4대 가계 지수 중 의생활 지수는 88.8로 지난해 4분기 대비 5.1포인트 하락해 지난해 2분기 이후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특히 여성 의류와 유아동 의류 등의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이번 불황의 최대 피해 부문이 된 것으로 분석됐다.
전통적인 주식인 쌀과 즉석밥은 각각 93.0과 90.6을 기록, 전년 같은 기간보다 판매량이 줄어든 반면, 파스타 (133.0), 냉장면류(108.6), 국수(118.1) 등 면류 소비는 큰 폭으로 늘어났다. 고추장과 된장 등 전통 장류보다 소스와 드레싱 등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 한국인의 입맛이 점점 더 서구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세계 유통산업연구소의 장중호 소장은 “본격적인 경기 회복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아직은 무리”라며 “그러나 지수 하락세가 진정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소비자 경기가 저점을 통과하고 있다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