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경기 회복 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빠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0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OECD는 최근 경기선행지수(CLI)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의 올해 2월 CLI가 94.5로 전달의 92.9보다 1.6포인트 증가해, 30개 OECD 회원국 가운데 최고의 회복세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CLI는 산업활동동향, 주택 동향, 금융·통화 현황, 국내총생산(GDP) 흐름을 복합적으로 계산한 것으로, 보통 6개월 후의 경기를 예측하는 주요 지표로 사용된다.
CLI가 100 이상에서 증가하면 경기 팽창, 감소하면 경기 하강을 의미하며 100 이하에서 CLI가 증가하면 경기 침체에서 회복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OECD의 분석에 따르면 한국 경제는 오는 8월 이후에는 회복기에 접어들 수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CLI 변동 추이를 보면 뚜렷한 호전 기미가 감지된다.
우리나라의 CLI는 지난해 8월 93.4를 기록한 이후 9월 미국발 금융위기가 발생해 92.1로 감소했다. 이후 10월 91.1, 11월 91.1를 기록한 뒤 12월 91.7을 기점으로 올해 1월 92.9, 2월 94.5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올해 2월 들어 OECD 회원국 가운데 CLI가 전월 대비 증가한 나라는 한국(1.6포인트)을 포함해 멕시코(0.5포인트), 이탈리아(0.4포인트), 터키(0.3포인트), 핀란드(0.3포인트), 뉴질랜드(0.2포인트), 폴란드(0.2포인트), 프랑스(0.1포인트) 등 8개국밖에 없다.
그 중에서도 한국의 증가폭은 나머지 국가들에 비해 훨씬 커 가장 두드러진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OECD 회원국 전체 평균은 2월 CLI가 92.0으로 전월 대비 0.7포인트가 감소했다. 주요 7개국(G7) 또한 0.8포인트가 줄었다. 한국과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이 포함된 주요 아시아 5개국도 0.9포인트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