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가 지방 언론사에 차등을 두고 대우를 해 말썽이 되자 관계공무원은“지금까지 내려오는 관행에 따랐을 뿐이다”이란 궁색한 변명 하고 있어 본지는 4번에 걸쳐 안동공무원들의 만행과 관행을 지적해 본다.
1. 안동시 지방언론사 관행이란 명목에 편파 대우
2. 정보통신실 모 월간지 특혜 설
3. 지난해 공고비 지출내역 ‘허위공개’
4. 기관단체장 상견례, 정보통신실 일부기자만 연락
▶ 일부언론사 눈치보기 급급 내역서까지 조작
▶ 외부적, 악의적 압력 의혹... 불신행정 자처
▶ 일부기자 전유물 전락 프레스센터 폐쇄해야
안동시가 정보공개 자료요청에 인색하다 못해 허위 정보공개로 17만 시민들의 알권리를 무시·기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동시의 각 언론사별 광고 공고비 편파지급 논란과 관련, 진위파악을 위해 지난 3월 9일 언론사별 공고비 지출내역을 통합정보공개포탈 사이트를 통해 정보공개를 요청했다.
정보공개 신청내역은 지난해 1월 1일~2009년 3월 9일까지 각 부서별 공고내역으로 언론사별 날자, 금액, 명칭 등 상세내역서를 온라인 전자파일 공개했다.
하지만 안동시는 공개발표 날인 18일 오후 1시께 3월 31일까지 어떤 이유인지 공고 내역서 기간연장 결정통보를 해 왔다. 10일 이내 연장할 수 있는 기간을 무려 13일이나 연장한 셈이다.
더구나 상세내역을 요청했지만 종합민원실에서 공개한 내역 서에는 3개과(건설, 도시, 문화)로 구분, 언론사를 하나로 묶는 두루 뭉실 방식으로 공개해 구체적 사실 확인을 불가능 하게 했다.
또 다시 상세내역을 요구하자 3개과에서 제출받은 비교적 상세한 내역서는 제출받았다. 하지만 공개내역서에는 15개월 동안 지방 일간지 12개 언론사중 1~2개사에서 안동시 공고를 독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이유로 일단 두루 뭉실 내역을 제시한 후 이의제기 시, 상세내역을 공개할 속셈인 듯 했다. 때문에 두루 뭉실 부실공개 이면으로 부서장 지시 내지 묵인을 비롯해 외부적으로 상당한 악의적 압력이 있었을 것이란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상세 내역서 또한 허위로 드러났다. 상당부분을 누락시키는 등 짜 맞히기 엉터리 정보공개를 한 것. 몇몇 신문사만 골라 너무 많이 공고를 줬기에 누락시켰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
공개내역서에는 지난해 1월~6월까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공개했고 7월 이후 건설과, 도시디자인과에서 자칭 메이저 언론사만 선택, 분배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 결과, 지난해 6월까지 상당량의 공고가 발생했던 것으로 드러났으며 공개된 7월 이후에도 누락부분이 많은 등 확인한 2개사에 10여 건을 누락시킨 채 공개한 것으로 밝혀졌다.
안동시에 12개 지방언론사가 출입하고 있지만 그중 2개 지방 언론사에만 공고가 독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재차 확인한 결과 2월(10,18일),3월(13,21일), 5월(9,13일), 9월(10일), 10월(2,21일) 등 정보공개 청구된 내용과 무려 10여 건을 무더기 누락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시민들은“안동시 공무원들이 무엇이 두려워 이러는지 17만 시민에게 소상히 밝혀야 할 것”이라며“타 시·군은 지면에 시정홍보를 가장 많이 하는 신문위주로 광고·공고를 게제 하고 있는 시점에 안동시만 유별나게 몇몇 신문사에만 게제를 하는지 알수없다”고 지적했다.
결국 마이너는 3~4년 동안 한 번도 주지 않았으면서 프레스센터를 장악, 온갖 호들갑을 떨고 있는 메이저에 주눅 들어 전량 지급했기에 허위내역서를 공개했을 것이란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10여 건 무더기 누락은 결코 담당직원의 실수로 볼 수 없는 은폐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주민복지과, 재난관리과, 건축과, 산림과 등 미공개 부서들도 공고사실이 확인돼 안동시 전체가 체계적인 단합 은폐했을 것이란 오명을 씻을 수 없게 됐다.
더구나 정보공개 자료를 조작한 것도 모자라‘하나 빠짐없이 전부’라는 거짓주장까지 하고 있는 담당 공무원은 명백한 자료조작에 이어 거짓말까지 한 행태로 미뤄 신뢰할 수 없는 불신행정을 자처하고 나서는 꼴이다.
이번 허위 정보공개는 안동시 행정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리는 심각한 행위로 외부압력 등 철저한 진상규명이 필요하며 시민혈세로 운영되는 프레스센터가 안동 홍보에 역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것을 1,300여명의 공무원은 알아야 할 것이다.
주민 권모(57·법흥동)씨는“김휘동 안동시장은 무엇이 두려워 프레스센터를 두고 있는 지 알수 없다”며“ 일부 언론사 기자들의 전유물로 전락하고 있는 프레스센터를 폐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재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