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결식이 29일 서울 경복궁 앞뜰에서 국민장(國民葬)으로 엄수된다. 이날 열리는 국민장은 발인식-영결식-노제-화장-안치-안장 순으로 진행된다.
노 전 대통령의 유해는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의 발인식 이후 서울로 운구돼 영결식과 서울광장 노제를 거쳐 수원 연화장에서 화장되고 나면 봉하마을의 사찰인 정토원에 안치될 예정이다.
송지헌 아나운서의 사회로 진행되는 영결식은 오전 11시 서울 경복궁 흥례문 앞뜰에서 전·현직 대통령과 정·관계 주요 인사, 주한 외교사절을 포함한 각계 인사와 유족 등 3,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된다.
영결식에는 이명박 대통령과 김대중, 김영삼 전 대통령을 비롯해 주한외교단과 조문사절 200여명, 유가족과 관련인사 800여명이 참석한다. 이밖에 장의위원 1,000명과 각계 인사 및 시민 800명도 참석한다.
영결식은 새벽 5시 경남 진영읍 봉하마을 마을회관 광장에서 유족과 주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발인식을 치른 운구차량 행렬이 경복궁 영결식장에 들어서는 순간 군악대의 조악 연주로 시작된다.
이어 국민의례와 고인에 대한 묵념, 장의위원회 집행위원장인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의 고인 약력보고, 공동 장의위원장인 한승수 국무총리와 한명숙 전 국무총리의 조사, 불교·기독교·천주교의 종교의식으로 진행된다.
노 전 대통령의 생전 영상이 무대 양쪽에 설치된 두 대의 전광판을 통해 방영되고 상주와 직계가족 대표, 이명박 대통령 내외와 전직 대통령, 장의위원장과 장의위원들, 외교사절, 각계 대표 순으로 헌화가 진행된다. 영결식은 조가에 이어 추모공연(국립합창단·해금연주), 삼군의 조총 21발 발사 등으로 1시간여 만에 마무리된다.
개식 때는 '영원한 안식'이 헌화 때는 '새같이 날으리', '미타의 품에 안겨' 등 5곡이, 폐식 때는 '장송행진곡'이 연주된다.
정부는 식장에 입장하지 못한 국민들을 위해 영결식 장면을 공중파TV와 서울역, 서울광장 등 총 4대의 대형 전광판으로 생중계할 예정이다.
영결식을 마친 노 전 대통령의 유해를 실은 운구차량은 서울~태평로를 지나 서울광장으로 이동, 오후 1시부터 30분간 조시와 진혼무 등 노제(路祭) 를 지낸다.
이때 노 전 대통령의 운구행렬은 오픈카 4대에 설치한 가로 5.4m×세로 3.6m 크기의 대형 태극기를 선두로 오픈카 1대에 설치한 가로 1.1m×세로 1.4m 크기의 영정과 영구차, 유족, 장의위원 등이 뒤따른다.
이어 덕수궁 대한문 앞 서울광장에서는 오후 1시부터 유가족과 영결식 참석자, 일반 시민이 참여한 가운데 30분간 노제를 지내게 된다.
노제는 도종환 시인 진행으로 가수 양희은과 안치환, 윤도현의 여는마당, 안도현과 김진경 시인의 조시, 장시아 시인의 유서 낭독, 안숙선 명창의 조창, 진혼무 등의 순으로 약 30분간 진행된다.
노제가 끝나면 운구 행렬은 만장(輓章) 2000여개가 뒤따르는 가운데 다시 숭례문 앞 태평로를 거쳐 서울역까지 30분 정도를 도보로 이동하며 시민들의 배웅을 받는다.
노 전 대통령의 유해는 운구차량을 이용해 오후 3시에 수원시 연화장에 도착해 2시간 동안 화장식을 치르게 된다.
운구행렬은 오후 9시께 봉하마을에 도착, 노 전 대통령의 유골함은 봉화산 정토원 법당에 임시로 안치됐다가 사저 옆 야산에 조성되는 장지에 안장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