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에서 선사시대부터 고려의 후삼국 통일에 이르기 까지 고대 안동의 역사를 재조명하고 안동 문화의 연원을 밝히는 연구용역을 한국국학진흥원에 의뢰해 그 연구 성과인‘고려 안동의 역사와 문화’를 발간했다.
지금까지 안동은 다양한 문화유산을 지닌 전통문화의 도시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그 대부분이 조선시대에 치우쳐져 있어‘조선의 안동’의 개념이 강한 면이 있었다.
이번 조사는 크게‘고대 안동의 역사와 사회’와‘고대 안동의 문화와 종교’2개의 대 주제로 나누어 진행했으며 대 주제는 각각 5개의 소주제를 통해 안동문화의 실체에 접근했다.
그 결과 고대 안동의 역사적 위상과 그 실체는 어떠하였으며 안동에 산재하고 있는 불교문화인 사찰, 탑, 불교조각 등은 어떠한 경로를 통해 안동지역에 전파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시는 한국국학진흥원에 용역을 의뢰하였고 한국국학진흥원에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에게 조사를 의뢰하고 1여년의 연구·조사를 통해 이 책자를 발간했다.
특히 시는 이번 연구로 인해 공백으로 남아 있던‘고대 안동’을 찾는 기초적인 토대는 마련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이를 기초로 해 고려의 안동, 조선의 안동으로 이어지고 나아가‘세계역사도시’로서의 안동의 면모와 위상을 정립하는 노력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윤재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