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시승격 60주년을 맞아 시공한 기념조형물이 불법하도급된 사실이 드러나 물의를 빚고 있다.
특히 60주년 기념조형물을 발주한 포항시는 1년 넘는 공기 동안 불법하도급 사실을 몰랐다고 밝혀 포항시 발주 조형물에 대대적인 감사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포항시는 지난 6월12일 해도근린공원에서 열린 시승격 60주년 ‘2009년 시민의 날’ 기념식에서 13억2,000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세계를 향한 비상’이라는 기념조형물 제막식을 가졌다고 14일 밝혔다.
하지만 13일 오후 석재와 전기, 중장비, 조경토 납품 및 시공에 참여한 22개사 대표들은 포항시 담당 부서를 항의방문해 포항시와 턴키 계약한 부산의 A광고기획사가 건설업법을 어기고 대구의 또 다른 B사에 일괄하도급으로 공사를 넘겼다고 폭로했다.
또 포항시가 원청인 A사 직원이 전혀 나타나지 않고 대구의 하도급업체가 직접 공사를 추진한 상황을 명백히 알고 있었지만 묵인한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재하도급에 참여한 40여곳의 업체들은 업체당 수백~수천만원 씩 모두 4억5,000여원의 공사비를 지급받지 못해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들은 미지급된 공사대금 6억6,000여만원이 원청사인 부산업체에 이미 입금돼 자신들의 채권을 받을 가망성 마저 사라졌다고 주장했다.
실제 대구의 하도급업체는 짧은 공기에 예상치 못한 추가공사가 늘어나 손해를 본 채 공사비 지급 능력이 없는 반면 부산의 원청사는 이미 채권을 확보한 뒤 이 채권을 신용정보회사로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하청업체 대표 C씨는 “시승격을 기념하는 관급공사임을 믿고 온갖 악조건 속에서 공기를 맞췄는데 결국 지역업체만 불법하도급에 의해 도산위기에 내몰렸다”며 “죽쒀 남주는 포항시 건설행정에 분통이 터진다”고 분개했다.
박창섭 건설도시국장은“시 개입에 한계가 있고 수십가지 규정이 있는 데 사소한 부분까지 신경쓸 수 없었다”며“하지만 원청사와의 원활한 해결을 위한 중개는 계속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배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