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만간 모내기를 하는 농촌풍경이 사라질지 모른다. 최근 모판에 모를 길러 이앙하는 대신, 볍씨를 직접 논에 심는 방법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 방법은 모를 기르고, 운반하고 이앙하는 과정 없이 직접 볍씨를 논에 심음으로써 농촌 노동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의 하나로 인식돼 왔다. 직파방법에는 물을 넣은 논에 볍씨를 직파하는 무논직파와 물을 대지 않은 건답에 직파하는 건답직파가 있다. 이러한 직파방법은 볍씨의 발아, 모의 이동 및 이앙 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줄여 농촌 일손부족의 해소뿐만 아니라, 육모 및 모의 이동에 사용되는 에너지 등을 절감해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효과도 동시에 가져온다. 특허청(청장 고정식) 자료에 의하면 직파와 관련된 출원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13.5건이 꾸준히 출원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출원(79%)이 기업출원(21%)에 비해 3.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현장에서 실제 작업을 하는 개별 농가가 파종방법 개량의 필요성을 더 절감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론적인 개발보다는 현장에서의 적응 시험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주요 특허기술로는 볍씨를 심음과 동시에 비료를 공급하는 비료공급장치가 구비된 직파기와 논을 갈며 동시에 고랑을 형성하고 볍씨를 심는 복합형 직파기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정확한 직파를 위하여 센서 및 제어 기술들을 접목해 직파기의 파종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직파기도 개발되고 있다. 기존에는 싹이 나지 않은 볍씨를 직파해 파종에 실패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싹이 난 볍씨(1~2mm) 종자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직파의 성능을 더욱 높이고 있다. 특히, 무논직파방법은 모내기의 장점과 건답직파의 장점을 모두 살릴 수 있는 파종방법으로써, 무논직파기는 기존의 이앙기에 설치해 사용하는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잡초제거 기능인 이앙의 장점과 육모가 필요 없고 노동력이 절감되는 직파의 장점을 살린 실용성과 경제성을 갖춘 하이브리드형 파종방법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최근 들어 파종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기업에서 파종기 개발에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어 노동력이 절감돼 파종기의 개발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김종오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