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불카드 사용 규모가 카드사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5월 하루 평균 직불카드 사용금액은 1억1,000만원을 기록했다.
지난 2004년 9월 1억원을 기록한 뒤로 가장 낮은 수치다.
사용건수 기준으로도 2,700여건으로 2004년 10월 1,700여건 이후 가장 적었다.
미래 수입을 앞당겨 쓰는 신용카드와 달리, 직불카드는 은행 잔고 범위에서만 쓸 수 있다. 그 만큼 건전한 소비생활이 이뤄지고 신용불량의 위험이 작은 결제 수단이다.
이 같은 취지로 지난 1996년 도입된 직불카드는 갈수록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직불카드 사용규모는 2005년 12월 이후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이 한 달을 제외하고 줄곧 마이너스이다.
신용카드에 비해 가맹점이 적고 심야 시간대 사용이 불가능한데다 각종 부가 혜택이 없다는 단점 탓이다.
하지만 정부가 지나치게 신용카드 사용을 장려하고, 금융기관들이 수수료 수익을 의식해 직불카드보다 신용카드 발급을 선호하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