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31일 언론중재법 개정안을 별도 협의체에서 재논의한 뒤 이달 27일 본회의에 상정하기로 최종 합의했다.   이로써 여야는 언론중재법을 둘러싼 극한대치를 멈추고 이날 오후 2시 예정대로 본회의를 열어 언론중재법을 제외한 나머지 안건들을 처리하기로 했다.  윤호중 민주당 원내대표와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1시 박병석 국회의장 주재로 만나 이같은 내용의 합의문을 발표했다.  양당 원내지도부가 전날부터 이날 오전까지 언론중재법 처리를 두고 다섯 차례에 걸쳐 마라톤 협상을 거친 끝에 나온 조정안이다. 협의체는 총 8인으로 구성되며 양당이 의원 2명과 언론계 관계 전문가 2명씩을 추천한다.  이날 오전 11시 잠정 합의 도출에 이어 2시간 만에 다시 만난 두 원내대표는 여야 합의로 법안을 처리키로 한 데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향후 협상 과정에 대해서는 미묘하게 엇갈린 전망을 내놨다.  민주당은 가짜뉴스 피해 구제 등 언론개혁 필요성을 야당도 일부 인정했다는 점을 부각시킨 반면 국민의힘은 법안이 언론자유를 훼손시켜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윤 원내대표는 "오늘 합의는 가짜뉴스로부터 피해 받은 국민을 구원, 구제하기 위한 길을 여는 데 양당이 합의를 했다고 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법 처리가 한달 남짓 지연되긴 하지만 양당이 협의 기구를 통해서 원만한 토론으로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가짜뉴스 피해 구제법은 언론 개혁의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이후에도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문제, 포털 뉴스 편집 서비스의 사업자의 사회적 책임성·공정성 강화 문제, 1인 미디어 가짜뉴스에 대한 법 등 가야 할 길은 넓고 해야 할 일도 많다"며 "이 합의를 계기로 해서 여야가 언론 환경을 보다 더 선진화된 환경으로 정착시켜나가는 데 앞장서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오늘 잠정적으로 한 달의 시간을 벌면서 연기하긴 했지만 여전히 문제는 해결된 것이 아니라 현재 진행형"이라면서 "언론의 윤리와 사회적 기준에 맞는 행동 기준도 중요하지만,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 질서를 지켜나가는 가장 큰 기준은 언론·출판·표현의 자유라 생각하고 국민이 알 권리는 어떤 경우에서도 보장돼야 한다는 것이 우리 당의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런 문제들을 잘 보장받으면서 언론이 자유로운 취재 활동을 하고, 국민들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는 기준을 지켜나갈 것이냐에 대해 지금부터 남은 한 달의 기간 동안 숙의를 거쳐야 하는 숙제가 있다"며 "이 숙제를 풀어나갈 수 있도록 민주당 의원, 언론계 종사자와 뜻을 모아서 최대한 좋은 합의안을 만들었으면 하는 게 저희의 소망이다. 마음을 열고 통 크게 의견을 담을 수 있는 장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 의장은 "양당이 대화와 타협을 통해 원만히 합의를 이룬 것을 다행으로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이런 정신을 지켜서 원만한 합의를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는 "특히 국민들이 몹시 어려운 시기이기 때문에 정치권이 국민에게 걱정을 끼치는 게 아니라 국민이 국회에 기댈 수 있는 그런 소통을 보여주셨으면 한다"며 "내일부터 시작되는 정기 국회도 이런 정신에 따라 국민 안정, 민생을 위해 협력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