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지사가 4일 더불어민주당의 내년 대통령 선거 후보 선출을 위한 첫 지역 순회 경선에서 과반 압승을 거두며 '대세론 굳히기'에 탄력을 받고 있다.이제 막 첫 발을 뗀 경선에서 당심도 여론조사 1위인 이 지사에 쏠림현상을 보이면서 민심과 당심이 다르지 않다는 점을 증명했다. 이 지사가 경선 레이스의 가늠자로 불리는 충청에서 압도적으로 승리하면서 친문 강성지지층도 정권재창출을 위해 이 지사를 전략적으로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이날 오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전·충남 경선에서 이 지사는 총 투표수 2만5564표중 1만4012표를 얻으며 54.81%의 득표율로 1위에 올랐다.7007표(27.41%)에 그치며 2위에 머무른 당내 최대 경쟁자인 이낙연 전 대표에 '더블 스코어' 차이의 압승을 거둔 것이다.이번 대전·충남 경선은 11차례 예정된 지역 순회 경선에서 가장 먼저 투표함의 뚜껑이 열리고 후보들의 순위가 공개된다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선거인단은 5만2820명(투표율 48.40%) 규모로 200만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전체 선거인단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지만 첫 개표 결과인 만큼 다른 지역의 표심에도 적잖은 영향을 줄 것이란 분석에서다.대중 앞에서 처음으로 순위가 매겨지는 이번 충청권 투표 결과에 따라 대세를 따라가는 일종의 '밴드왜건 효과'(편승효과)가 나타나 다른 지역 순회 경선의 흐름도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일례로 지난 2017년 민주당 대선 경선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첫 순회 경선지인 호남권에서 60.2%를 득표, 2위인 안희정 전 충남지사(20%)를 3배 차이로 누르고 대세론을 입증하며 경선 승리의 교두보를 쌓은 바 있다.당시 안 전 지사와 이 지사(19.4%)는 호남에서 목표 득표율 40%와 35%를 제시했지만 달성하지 못했다. 문 대통령의 득표율을 과반 이하로 묶는다는 전략이 무산되면서 '문재인 비토론'은 힘을 잃고 대세론이 부상했으며 후발 주자가 대역전을 노릴 수 있는 결선 투표까지도 가지 못했다.충청권이 주요 선거 때마다 영호남 지역대결 구도에서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해온 지역이라는 점도 이번 대전·충남 경선 결과에 주목도를 키웠다.이처럼 중요한 첫 경선에서 이 지사가 과반 득표에 성공함에 따라 지난 대선 경선 당시 문 대통령이 그랬던 것처럼 대세론을 입증하는 동시에 당내 '이재명 비토론'이 급속히 힘을 잃을 것이란 평가다.특히 민심과 당심의 동조화가 확인됐다는 점에서 이 지사의 대세론에는 더욱 힘이 실릴 전망이다. 이 지사는 그동안 여론조사상 우위에도 불구하고 친문 중심의 권리당원 분포와 상대적인 조직력의 열세 등이 약점으로 꼽혀 왔다.더욱이 지역 순회 경선은 여론조사가 아닌 선거인단 투표로 진행되는 만큼 해당 지역의 대의원·권리당원을 어떤 캠프에서 더 많이 모았는지가 승부처가 된다는 점에서 이번 대전·충남 경선에서 과반 득표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도 만만치 않았다.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 이 지사는 권리당원 득표에서 1만3685표(55.21%)로 이 전 대표(6748표, 27.23%)를 크게 앞질렀을 뿐만 아니라 전국대의원 득표에서도 324표(42.02%)로 이 전 대표(255표, 33.07%)를 앞섰다.여론조사상 우위로 드러난 민심과 조직력이 관건인 당심 사이에 간극이 거의 없다는 게 증명된 셈이다.이에 따라 향후 지역 순회 경선과 가장 규모가 큰 국민·일반당원 선거인단 개표 결과가 발표되는 '슈퍼위크'(1차 9월12일, 2차 10월3일) 등에서도 현재의 과반 흐름을 이어갈 경우 1·2위 후보 간 치르는 결선투표 없이 바로 본선에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이 지사는 일단 겸손 모드를 취했다. 그는 이날 투표 결과 발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과반수 득표에 대해 "저희 입장에서 명확한 예측은 못했다"면서도 "약간 우세한 정도 아니겠냐고 했는데 제 생각보다는 조금 더 많이 지지를 받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고 답했다.그는 또 "민주당 당원과 민주당을 사랑하시는 국민 여러분들의 선택에 겸허하게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자세를 낮추면서 "우리 민주당 당원 동지 여러분께서 본선 경쟁력을 중심으로 승리할 수 있는 후보를 적극적으로 지지해주셨다고 생각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