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만5000대의 수소차가 도로를 누비고 있지만 수소충전소 구축이 실제 목표치에 미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민의힘 양금희 의원(대구 북구갑, 사진)이 한국가스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전국 수소충전소는 91곳, 충전기는 112개로 당초 정부가 목표한 180기의 62.2% 수준에 그쳤다. 정부는 2019년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이후 올해 수소경제 전담기관 사업계획 설립을 통해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지원책과 제도적 기반을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수소 인프라의 핵심인 충전기는 현재 목표량에 미달하는 수치다. 달성을 위해서는 남은 기간 동안 1달에 17기의 충전소를 설치해야 가능한 수치다. 충전소 구축 속도가 더디자 지난해 추경에 담아 급하게 구매한 180개의 안전점검장비는 활용할 곳이 없어 먼지만 쌓이고 있는 실정이다. 수소충전소 자체 점검장비는 4종이 한 세트로 가격은 800만원에 이른다. 그마저도 전국 91곳 충전소 중 비대상 12개 충전소를 제외한 79곳의 30%인 27곳에 보급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이같은 상황에서 산업부는 지난 8월 30일 수소충전소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으로 24시간 실시간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했다고 홍보했다. 사업자 자체 일일점검·가스안전공사의 현장검사·모니터링시스템 실시간 점검을 통한 3중 안전점검체계를 갖췄다는 것이다.계획대로 달성하지 못한 수소충전소와 그로 인해 먼지만 쌓여가는 점검 장비, 실적 홍보에 급급한 산업부. 수소 정책의 허점이 낱낱이 드러나는 대목이라는 게 양의원의 설명이다.양 의원은 “충전소 인프라 구축과 안전관리는 수소경제의 핵심”이라며 “정부는 목표치 설정에 더 치밀하고 현실적이어야 한다”고 지적했다.이어 “수소경제 실현을 위해서는 실적달성 홍보에 급급할 것이 아니라 주민수용성·안전·충전소 간 거리·물리적인 시간 등을 고려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