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가산업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가동률 등의 지표가 2016년과 비교해 모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양금희 국회의원(대구 북구 갑)이 한국산업단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산업단지공단 관할 국가산단의 지난해 총생산액은 459조9640억원으로 2016년(503조1759억원)과 비교해 44조원 줄었다. 이 기간 연평균 감소율도 2.2%에 달했다. 업체당 생산액도 2016년 131억원에서 연평균 3.18% 감소해 지난해 115억원 수준에 머물렀다. 전체 수출액은 2016년 1739억7300만불에서 2020년 ,414억6000만불로 연평균 9.6% 감소했고 업체당 수출액도 2016년 452만불에서 2020년 353만불로 줄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제조업 수출액은 4934억9500만달러에서 5399억3200만달러로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또 산단 수출액이 우리나라 전체 제조업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35.3%였으나 2019년에는 28.3%로 7%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산업단지의 국내 수출에 대한 기여도도 급감했다. 2020년 산업단지 고용인원은 96만9712명으로 2016년 103만2594명 대비 6만2882명 감소했다. 같은 기간 업체당 고용인원도 23명에서 20명으로 줄었다.가동률 역시 2016년 82.8%에서 2020년 76.2%로 하락했다. 국내 제조업 평균 가동률(73.5%->71.3%)과 비교했을 때 산업단지 가동률은 다소 높았으나 2017년 이후 매년 꾸준히 감소하는 모양새다. 기업 규모별 양극화도 우려스럽다. 지난해 7월 대비 올해 7월 산업단지 가동률을 보면, 50인 미만 기업은 68.7%로, 50인 이상 300인미만 기업이 81.4%, 300인 이상 기업이 87.6%의 가동률을 보이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와 함께 2013년부터 올해 8월까지 입주계약을 해지한 기업은 5만2052개다. 산단 신규입주 기업 대비 계약해지 기업 비율은 80%에 달한다. 계약해지 사유는 이전(47%), 양도(18%), 자진폐업(8%), 직권취소(8%) 순 이었다. 양 의원은 “과거 우리 산업 성장을 주도했던 산업단지의 활력이 저하되면서 산업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며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 국가 경제가 회복탄력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지역의 경제 회복이 중요하다. 지역별 각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다시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