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지역순회 경선 종료를 앞두고 이낙연 전 대표 측이 연일 '이재명 게이트'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재명 경기지사로는 내년 대선에서 재집권할 수 없다는 마지막 총공세가 효과를 거둘지, 지지층의 반감을 사 역효과를 낼지 주목된다.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을 두고 '국민의힘 게이트'라고 주장하는 이 지사나 민주당 지도부와 달리, 이 전 대표 측은 '이재명 게이트' 의혹 제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 전 대표는 지난 5일 기자회견에서 "민주당 1위 후보의 측근이 구속됐다"며 "그런 인사와 행정을 했던 후보가 국정을 잘 운영할 수 있겠나"라고 공세의 포문을 열었다.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구속과 관련해 이 지사 책임론을 꺼낸 것이다.나아가 그는 "대장동 수사가 어떻게 전개될지 알 수 없다. 그런 불안을 안고 대선을 이길 수 있겠나"라며 "1위 후보의 위기는 민주당의 위기이고 정권 재창출의 위기"라고 말했다. 
검찰 수사가 유 전 본부장의 윗선으로 향할 경우, 당시 성남시장인 이 지사가 그 끝에 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이 지사와 유 전 본부장의 연결 고리를 검찰 수사에서 밝혀야 한다는 촉구도 나왔다. 
이낙연 캠프 수석대변인인 오영훈 의원은 4일 논평에서 "이 사건의 또 다른 핵심은 최초 지시자"라며 "누구의 지시에 의해 이런 엄청난 범죄를 기획했는지 반드시 밝혀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엄중한 처벌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공동선대위원장인 설훈 의원은 6일 논평에서 유 전 본부장이 이 지사의 2010년 성남시장, 2018년 도지사 선거운동을 도운 뒤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경기관광공사 사장에 임명됐다며 "유 전 본부장이 측근 중 측근, 심복이라는 사실은 삼척동자도 안다"고 말했다. "국민의 절반 정도가 대장동 사태를 '이재명 게이트'로 인식하고 있다"고도 했다. 이 전 대표는 6일 페이스북을 통해 대장동 사건 수사, 미적거리면 안 된다"며 검·경을 향해 "핵심 용의자들이 증거를 은폐하고 국민의 눈을 가리기 전에 신속하고 정확한 수사로 진실을 밝혀 달라"고 촉구했다. 또 "부동산으로 부당하게 이득을 챙기고 천문학적 돈잔치를 벌인 범죄자들을 엄벌하라"고 했다. 김부겸 국무총리에게 정부합동수사본부 구성도 요청했다.민주당 대선 경선 마지막 레이스인 서울·경기 지역 경선과 3차 국민선거인단의 표심을 자극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누적 득표율은 이 지사 54.90%, 이 전 대표는 34.33%로 과반 저지가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남은 선거인단 62만여명의 표심이 이 전 대표에게 쏠리는 이변이 생기면 결선투표를 통해 역전을 노려볼 수 있다. 
특히 수도권은 상대적으로 부동산 문제에 민감한 지역이라 영향이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그러나 당의 화합을 저해한다는 이유로 반감을 드러내는 지지층도 있어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 지사 리스크를 부각시키는 것은 결국 국민의힘의 논리와 같다는 것이다. 대장동 의혹이 터진 이후 치러진 지역 순회경선에서 '1위 후보 지키기' 경향이 강해진 것과 마찬가지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재명 게이트' 공세가 이 전 대표에게 득이 아니라 오히려 독이 될 가능성이다. 
이 전 대표 측이 검찰 수사와 언론 보도로 드러난 의혹 외에 제보로 입수한 추가 의혹 공개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적극적으로 의혹 제기에 나서는 순간, 국민의힘 편에 섰다는 역풍을 맞을 수도 있어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