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경기지사와 정의당 대선 후보 심상정 의원이 20일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대장동 의혹을 놓고 설전을 벌였다.심 후보는 이날 수원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대장동 사업을 놓고 국민들의 생각과 이 지사의 입장에 괴리가 크다"며 "국민의 70%가 이 지사 책임론을 얘기하고 있다"고 했다.이어 심 후보가 "대장동 사업이 자산격차 해소에 어떤 기여를 했다고 생각하느냐. 기여를 했느냐, 안 했느냐"고 추궁하자, 이 후보는 "코끼리를 볼 때 다리를 보고 말하면 괴리가 있다"고 맞받았다.심 후보는 경실련 주장을 근거로 "자료를 보면 택지조성과 분양을 합쳐서 (대장동) 개발 이익이 시민단체 추산 1조8000억원이다. 이중 이 지사의 주장은 택지사업을 성남의뜰이 해서 이득의 5500억원을 환수했다"고 지적했다.그는 "이 지사가 택지사업에서 70%를 환수했다는 건 맞는 말이지만 이 사업 자체가 아파트 분양사업까지 1조8000억원을 기준으로 하면 5500억원을 다 인정해도 25%, 말하자면 대장동 전체 이익 중 75~90%가 민간으로 넘어갔다"며 "이것이 국민이 분노하는 지점"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 지사가 큰 도둑에게 다 내주고 작은 확정이익에 집착해 '이거라도 얼마냐' 이렇게 말하는 것으로 이해한다"고 꼬집었다. 심 후보는 또 "민간 특혜이익으로 국민이 본 손실이 1조원"이라며 "강제수용으로 원주민이 4367억원, 용적율 완화로 1000억원을 민간에 몰아줬고, 분양가 상한제 미적용으로 4601억원이 무주택 입주민에게 손실로 돌아갔다"고 했다.그러면서 "이 부분에 대해 어떤 시민이 오늘 내게 꼭 이걸 말해달라고 한다"면서 "돈 받은 자=범인, 설계한 자=죄인"이라 적힌 손팻말을 들어보였다.그러자 이 후보는 "설계한 분이 범인이라 하는데, 도둑질을 설계한 사람은 도둑이 맞지만 공익환수를 설계한 사람은 착한 사람"이라고 말했다.그는 또 '경기도 미분양 물량 변화' 그래프를 실은 손팻말을 들어올리며 "결과론 다음(보다는) 현실론이 중요하다"며 "결정과 사업 판단은 (당시 시점) 현재 상황에서 할 수밖에 없다. 2015년은 알다시피 미분양이 폭증하던 때다. 이 상태를 벗어나 앞으로 집값이 폭등할 거라 예측해서 분양사업도 했어야 한다는 건 당시 상황을 좀 이해 못한 것 같다"고 응수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