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의 선거대책위원회 구성과 인선 단계가 막바지에 도달하면서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사진)의 등판도 임박해지자, 당 내에서는 '킹메이커' 역할론을 두고 옥신각신 공방이 일고 있다. 국민의힘 경선 당시 윤석열 캠프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았던 하태경 의원은 16일 "김종인 전 위원장은 선대위에서 상수"라며 당 선거대책위원회 합류를 기정사실화했다. 하 의원은 이날 BBS라디오 인터뷰에서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해 "중도, 청년 확장 기조 중 중도 확장에 있어서 아주 결정적 역할을 해주실 분이고, 윤 후보도 여러 차례 선대위를 이끌어달라는 부탁을 한 걸로 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하 의원은 "윤 후보도 김종인 위원장하고 똑같이 중도, 청년 확장으로 가야 한다는데 생각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거기에서 두 분이 크게 충돌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김종인 전 위원장도 본인의 소신대로 충분히 역할을 하실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윤 후보와 이준석 대표간 갈등 양상에 대해선 "어제 두 사람 회동은 아주 서로 얘기가 잘 됐다고 저도 듣고 있다"며 "사무총장 건도 잘 해결된 것 같다"고 전했다. 하 의원은 "우리 선대위 가장 중요한 기조가 중도, 청년 확장"이라며 "그 기조에 맞게 이준석 대표는 중도, 청년 확장에 맞게 이제 선대위 구성을 해야 한다는 걸 계속 강조해왔고, 윤 후보도 거기에 적극 공감을 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경선 과정에서 윤석열 후보를 공개 지지했던 조해진 의원은 TBS라디오에서 "우리 쪽에서는 정권 교체를 바라는 세력들은 다 선대위를 중심으로 뭉쳐야 되고 모여야 되고 그래서 '빅캠프'를 만들어야 되는데 그중에 가장 큰 역할 또 비중을 차지할 분 중 한 분이 김종인 비대위원장"이라고 말했다. 이어 "진중권 교수 같은 경우는 표현이 과하다 싶지만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시키는 대로 해라' 이런 표현을 할 정도로 그분의 지략이라든가 경륜이라든가 선거를 보는 눈이라든가 메시지 싸움이라든가 이런 부분에 있어서는 다른 사람이 하기 어려운 그런 특장점, 그분의 고유의 영역이 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당 일각에선 여전히 킹메이커 역할론에 회의적인 기류도 없지 않다.   이재오 국민의힘 상임고문은 YTN라디오 인터뷰에서 "요즘 같이 AI시대에 킹메이커라는 게 무슨 의미가 있나? 유권자들이 다 알아서 표를 찍는 거고, 또 특히 젊은 사람들이 무슨 킹메이커의 역할에 따라서 표가 좌우되고 그런 게 아니지 않느냐"며 "옛날 아날로그 시대에는 그런 것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런 킹메이커가 대통령 선거를 지휘하는 시대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킹메이커가 뭐 직업도 아니고 기술자도 아니고, 그리고 한 번도 그 분이 킹을 만들었다는 사람과 좋게 헤어진 적이 없잖나. 끝까지 같이 간 적도 없잖느냐"며 "윤석열 후보 킹메이커를 한다고 하더라도 언제 어떤 방식으로 또 불편하게 헤어질지도 모르잖나"라고 반문했다.   전날 출판기념회에서 윤 후보에 대해 '계기가 되면 도와줄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한 김 전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선 "자기한테 모든 전권을 주면 하겠다, 이런 이야기 아닌가"라고 해석하며 "내가 조건이 맞으면 하고 안 맞으면 안 하고, 그게 말이 되는 이야기인가"라고 비판했다.  그러고는 "지금까지 후보가 되면 후보가 거의 당무 우선권을 갖고 후보 중심으로 선거 때까지 당이 움직이는 것이 전통이고 관례"라며 "그런데 후보가 무슨 후보 외 대표나 제3자에게 인사에 대한 결재를 맡고 사정을 하고, 이런 건 우리 정치사에서 처음 있는 일"이라고 개탄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