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선대위 구성의 핵심 골격인 '3김(김종인-김한길-김병준) 체제' 출범에 제동이 걸렸다. 윤 후보가 김종인 전 위원장의 '2김(金) 비토' 속에서도 세 사람을 두루 만나며 설득, 합의를 이뤄낸 지 하루가 채 못돼 김 전 위원장 쪽에서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있어서다. 윤 후보는 22일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준석, 김병준 상임선대위원장 선임 건만 상정했다. 그러면서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은 하루 이틀 시간을 더 달라해서 본인께서 최종적으로 결심하면 그때 올리겠다"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예정시간보다 늦게 시작됐다. 회의 전 윤 후보, 이 대표, 김기현 원내대표가 대표실에서 따로 인선과 관련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김 전 위원장 총괄선대위원장 선임에 문제가 생긴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돌기도 했다. 윤 후보는 이날 회의 후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 선임건에 시간이 걸리는 이유'에 대해 묻자 "잘 모르겠지만 어제 제가 잘 말씀을 드렸는데 하루 이틀 만 시간을 달라고 하셨다"라고 답했다. 시간 말미를 달라는 시점에 대해선 "어제 밤에서 오늘 아침사이"라며 '설득이 어려운 게 아닌가'라는 질문에는 "저도 정확히는 모르겠다"라고 애매한 태도를 취했다. 이후 윤 후보가 김종인 전 위원장의 합류를 거부했다는 보도까지 나오면서 '3김 체제'는 물건너 가는게 아니냐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 추대는 사실상 확정된 상태였다. 여기에 김병준 전 비대위원장, 김한길 전 민주당 대표의 선대위 합류까지 이끌어내면서 윤석열 선대위는 3김 체제 구축으로 세부 인선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됐다. 3김 영입을 두고 '정치신인' 윤 후보가 첫 리더십 테스트를 통과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김병준, 김한길 카드에 부정적이었던 김 위원장을 설득한 데다 자신이 주장하던 '통합형 선대위'를 관철시켰기 때문으로, 사실상 '윤석열 승리'라는 말까지 나왔다. 그러나 김 전 위원장이 한발 빼는 듯한 태도를 취하면서 논의는 사실상 원점으로 되돌아간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김 전 위원장이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데는 3김 체제는 사실상 김 전 위원장이 전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한 구조적 견제 장치인 데다, 김 전 위원장이 제시한 세부 인선안 대해서도 윤 후보와 조율이 잘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 김 위원장은 이날 자신의 광화문 사무실을 찾아간 취재진의 질문에 "나는 이미 할 얘기를 다했다. 더 할 말이 없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