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22일 "이재명 정부의 미래 원자력 발전 정책은 '감(減)원전' 정책이라 말하겠다"고 밝혔다.이 후보는 이날 오전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과학기술분야 7대 공약 발표 후 원전 정책에 대한 질문을 받자 "문재인 정부, 3기 민주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에 문제가 있었다는 게 야당의 주장인 거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사회적 논쟁을 불러온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기조와의 차별화를 시사하는 발언인 셈이다.그는 "지금 당장 가동하거나 건설중인 원자력 발전소들은 그냥 계속 지어서 가동연한까지 사용하고, 신규로 새로 짓지는 않는다"며 "그러면 2084~2085년까지 현재 계획으로는 그때까지 원전이 (전체 에너지 발전에서)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고 설명했다.이어 "현재 재생에너지 생산효율, 발전단가가 이미 선도국가들의 경우 화석연료 발전단가를 역전한 상황이고 일반적 예측에 의하면 10년 이내 원전 발전 단가가 재생에너지 단가와 역전하게 될 거란 예측이 많다"며 "그런데 우리가 새롭게 원전을 지어서 가동하면 10년 정도 걸리는데 그런 점도 앞으로 지켜봐야겠다"고 짚었다.건설이 중단된 신한울 3·4호기와 관련해선 "이건 설계중에 중단된 것이기에 아까 언급한 건설 중인 건 건설해 가동 연한까지 사용한다는 (기조에) 포함되느냐, 아니면 계획한 단계 정도이니 안 하는 쪽으로 가야하느냐의 경계선에 있는 문제 같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이 후보는 "이 문제의 경우 일단 현재 문재인 정부에선 국민 공론을 거쳐서 안 하는 거로 결정은 됐는데 이게 폐기 됐다기보다는 그냥 현재상태로 멈춰있는 것 같다"며 "계속 논쟁거리가 되고 있는 것이지 안하는 것으로 확정된 게 아니다"고 말했다.그러면서 "상황이란 변하는 것이고 정책과 정치행정은 국민 뜻을 존중해야 하기에 우리 객관적 상황을 봤을 때 과연 실효성이 있을지, 발전단가와 위험성과 폐기물 처리 비용과 시간에 관한 문제를 객관적으로 한번 더 평가하고 국민의 객관적 자료에 의한 합리적 판단을 존중하겠다는 말씀으로 정리하겠다"고 했다.신한울 3·4호기의 경우 국민 공론화를 거쳐 건설 여부를 재검토하겠다는 종전 입장을 재확인한 셈이다.다만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기조와 지나친 '차별화'로 비치는 부분은 경계하는 모습도 보였다.회견에 배석한 이춘근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원이 소형모듈원자로(SMR)에 대해 "미래 대비 차원에서 예타(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서 추진한다는 입장"이라고 전하자 직접 나서 이를 정정한 것이다.이 후보는 "교수님 말씀 중 혹시 오해가 발생할 수 있는데 SMR을 건설하겠다는 게 아니라 연구에 계속 참여하겠다는 것"이라며 "혹시 또 나중에 말바꿨다 그럴까봐 (첨언한다)"고 웃어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