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오는 6월1일 지방선거를 맞아 기초·광역의원 비례대표 출마자를 대상으로 ‘공직 후보자역량 강화시험(PPAT)’ 을 확정하자 상반된 반응이 나오고 있다.국민의힘은 지난 21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기초·광역의원 비례대표는 일정 시험에서 기준 이상의 성적을 받아야만 공천 자격을 부여하기로 했다.애초에는 기초단체장까지 선출직 자격시험을 치르도록 했지만 최고위원들의 반발이 거세자 제외시켰다.‘공직 후보자역량 강화시험’은 지방선거 출마자들에게 정당법·지방자치법·정치자금법, 당헌·당규 등을 묻는 상대평가 방식의 시험으로, 성적에 따라 총 9등급으로 나뉜다.공천 대상으로 ▲기초의원 비례대표는 3등급 상위 35% ▲광역의원 비례대표는 2등급 상위 15% 이상의 성적을 받아야 공천 자격이 주어진다.이 같은 과거 없던 이준석 표 파격적 공천 룰 적용에 대해 당원들간 의견도 분분하다.당원들은 "지방선거 시 해묵은 ‘돈 공천’을 근절하겠다는 취지는 좋지만 그 해법이 꼭 자격시험일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다.당원 A 씨는 "시험 쳐서 입문하는 행정직 공무원과 달리 선출 권력을 동일시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며 "선출직 권력의 본질은 국민의 대표성인데, 상위 몇 퍼센트가 국민을 대표한다고 말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라고 반대했다.반면 청년 당원 들은 “이번 시험이 일종의 정치적 허들을 넘어뜨릴 기회”라며 환영하는 분위기다.한 청년 당원은 “그간 비례대표 공천은 돈 공천이란 불명예를 안아 공천해도 의정활동 자질 부족 등으로 지역민들 지탄을 받아왔다며, 이를 타파하려면 자질능력 자격시험 도입은 당연하다”라고 말했다.한편 국민의 힘 PPAT는 지난해 전당대회에서 이준석 대표의 핵심 공약으로 선출직은 시험제도를 통해서 자격을 부여해 선출해야 된다며 주장하자 최고위원 들은 자격이 아닌 국민이 직접 뽑도록 만든 제도라며, 반발이 거세자 이 대표는 구체적 방안 마련을 위한 당내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명칭도 ‘자격시험’에서 ‘역량강화시험’으로 바꿔 시행할 태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