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지역 노인 학대 가해자가 대부분 친족으로 밝혀져서 충격을 주고 있다. 경북은 전통적으로 삼강오륜(三綱五倫)을 덕목으로 하는 유교를 전통으로 가정에서는 효행으로 어른을 섬기는 존경심이 남다르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이런 전통사회에 가정의 어른이신 노인을 학대하는 불효가 대부분이 가정에서 일어나고 있어 충격이 아닐 수 없다. 경북도가 밝힌 노인 학대 가해자의 80%가 친족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이 상태로 가면 노인들은 설 땅이 없어졌다. 가정을 떠나 홀몸으로 여생을 보내거나 방황 하는 노인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경북 도내 지난해 지역 노인 학대 사례만 보더라도 599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97.3%인 583건이 가정에서 일어났다. 나머지 학대는 시설에서 일어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기가 막히는 것은 학대 행위자는 아들, 배우자, 며느리 등이 80%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아들이 36.8%로 가장 많았으며, 배우자 학대도 30%로 뒤를 이었다.
이 같은 수치는 신고된 노인 학대일 뿐 미신고도 엄청난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현재 전체 신고자 가운데 학대받는 노인 본인과 친족이 신고하는 경우는 11.1%에 그쳤다. 학대 유형별로는 정서적 학대(52.4%)와 육체적 학대(32.4%)가 대부분 차지했다. 경북도는 노인학대 사례가 2018년 432건, 2019년 494건, 2020년 510건, 2021년 599건으로 매년 증가하자 예방 종합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노인 학대 예방주간(6월 13∼18일)을 운영하고 예방 홍보에 행정력을 쏟고 있다. 또한 전국에서 처음으로 노인 인권 보호사(460명)를 위촉해 지역 어르신과 함께 노인 학대 예방 홍보와 신고 등을 하도록 했다.
하지만 노인 학대 예방대책의 목표는 국내 노인 학대 피해자 중심의 서비스와 예방을 위한 지원체계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노인 학대 예방에 대한 국가 책임을 명시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보다 높은 수준의 국고보조율 지급을 통해 관련 예산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외에도 건실한 노인 학대예방 인프라 구축, 학대피해노인을 위한 중장기 대책 마련해야 한다. 노인 학대 예방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건실한 인프라 구축이다. 노인 학대예방을 위해 최소한 아동보호전문기관 수준으로 확대해야 한다,
노인 학대의 심각성을 우려한 경북도는 각종 시설에서 발생하는 학대를 근절하기 위해 도와 시·군이 엄정한 행정처분과 지도·감독을 펼칠 방침이다. 노인보호전문기관, 시·군, 경찰서 등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적극 대처 한다는 계획이다. 도는 최근 노인학대 예방의 날 기념식을 열고 노인 학대 예방에 기여한 유공자와 단체를 시상했다. 23개 시·군 공무원, 경찰, 시설종사자 300여 명을 대상으로 노인학대예방 집합교육도 했다. 박성수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 "노인 학대는 우리 모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사회적인 문제"라며 노인 학대 예방에 팔을 걷었다.
노인학대 예방을 위해서는 노인보호전문기관의 인력배치 기준 변경부터 검토돼야 한다. 노인학대 대부분이 친족의 소행이라는 불행한 일이 우리 사회를 어둡게 하고 있다. 노인 학대 증가는 가정과 사회, 당국 모두의 책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