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방선거가 국민의힘 압승으로 막을 내린 지 3주째 접어들었다. 당선자는 초청자가 많은 데다 당선 분위기에 들떠 있고 공천권을 휘두른 국회의원은 공천 잘못에 대한 자숙은 고사하고 생색내기에 바빠 보인다. 그들에게는 산적해 있는 난제들에 대해 관심이 없다.
물가 상승 등으로 중차대한 시기에 국민의힘은 권력 다툼을 일삼고 계파 정치에 우려한 국민들은 2년 채 남지 않은 다음 총선에서 국회의원 물갈이가 나온다. 국민의힘은 5년 만에 정권교체를 이뤘고 대선 연장전으로 불렸던 지방선거에서도 대승을 거뒀다. 대선이나 지선 모두 민주당에 대한 심판일뿐인데 국힘은 착각에 빠져있다. 정권교체 여론이 50%를 넘었는데도 대선은 박빙으로 승리했다. 지선 승리는 새로 탄생한 윤석열 정권 안정론에 무게를 두었다. 민주당은 대선 패배에도 불구,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을 밀어붙여 국민들이 등을 돌렸다.
국민의 힘이 지긋지긋한 연패의 고리를 끊어내는 데는 5년이 아닌 무려 6년이 걸렸다. 국민의힘은 보수를 전통으로 하는 정당이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궤멸하다시피해 위기를 겪었다. 2016년 총선, 2017년 대선, 2018년 지선, 2020년 총선까지 전국 단위 선거에서 내리 4연패를 당했다. 올해 대선에서 0.73% 포인트 차이로 신승했고, 지방선거에서도 여세를 몰아 17개 시도지사 중 제주와 호남, 경기를 내주고 서울, 인천을 비롯한 충청권과 강원, 영남권 등 12곳에서 승리했다.
이런 정치 지형의 변화는 국민의 힘이 잘해서가 아니라 절대 다수당인 민주당이 민심을 외면했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거대 의석의 힘만 믿고 오만과 독선의 정치를 일삼다가 패배했다.
하지만 다가오는 총선에서도 누구도 승리를 장담못한다. 국민들은 강성 지지층만 바라보는 민주당의 팬덤 정치, 범 민주당 180석을 앞세운 입법 독주, 남의 잘못을 지적하며 나의 잘못을 절대 인정하지 않는 '내로남불 정치'에 신물이 났다. 이미 작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서 경고음이 나왔는데도 쇄신은커녕 구태를 답습하다 뻔한 결과를 자초했다. 요즘 국민의힘 돌아가는 것을 보면 벌써 4연패의 아픈 기억을 깡그리 잊어버린 것 같다. 윤석열 정부 초장기 민생 현안은 안중에 없고, 당권 다툼과 계파 만들기에 정신이 팔려있다. 선거 승리에 도취 돼 민심을 두려워하지 않았던 민주당의 전철을 그대로 밟아가는 듯하다.
이준석 대표와 5선 중진 정진석 의원의 난타전은 혀를 내두르게 한다. 이 대표의 우크라이나 방문이 도마 위에 올랐고 이 과정에서 SNS에 육모방망이가 등장하고 개소리, 싸가지, 추태 등 험한 말이 오갔다. 향후 당권과 2022년 총선 공천까지 염두에 둔 알력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장제원 의원이 주도하는 친윤 그룹 모임인 '민들레'(민심을 들어볼래) 출범을 둘러싸고도 잡음이 많다. 겉으로는 공부모임이라고 하지만 내년 5월 전당대회와 이듬해 총선 공천을 겨냥한 당내 사조직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제 국회의원 물갈이 차례다. 국민의힘이 아직 정신을 못 차린 것 같다. 윤 정부가 물가 상승, 부동산, 연금 개혁, 북핵 문제 등 난제들을 풀지 못하면 분명히 다음 총선에 발목 잡힐 것이다. 총선 승리는 윤 정부의 성공에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