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대구시장이 취임 기자회견에서 대구경북 행정통합 백지화 선언에 이어 이번엔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 방식을 두고 의견 차이를 보이면서 충돌하고 있다. 뿌리를 같이하고 있는 대구 경북이 단체장끼리 잦은 충돌로 현안들이 난항을 겪고 있다.  대구경북통합신공항건설을 두고 대구시는 특별법 제정을 통한 안정적 추진을, 경북도는 속도전을 강조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 7일 대구 호텔수성에서 열린 아시아포럼21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공항 건설은 빨리하는 게 제일 중요하다. 미적거리면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견해를 밝혔다. 이 도지사의 이 같은 언급은 홍준표 대구시장이 취임과 동시에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을 국비사업으로 건설하는 특별법 제정 추진을 두고 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도지사는 "지금 특별법을 만들자고 하는 것은 부수적인 이야기다. 지금 여당 되니 얼마나 좋나. 여기서 머뭇거리면 안 된다. 5년 이내에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홍준표 대구시장은 국가 주도의 군공항 이전사업을 통한 안정적 추진을 위해 특별법 제정에 방점을 두고 속도보다는 안정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 도지사의 발언을 두고 대구시는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특별법이 제정돼야 정부 예산 배정과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등이 용이하다"며 특별법 제정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대구시는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은 국토부가 주관하고 국비로 건설하자는 것이 특별법의 대원칙"이라며 "군공항 건설은 국토부가 주관하되 대구시가 위임을 받아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진행하고, 민간공항도 국토부가 주관하지만 후적지 개발은 대구시가 주도해 수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구시가 특별법 제안은 군공항과 민간공항, 공항산단, 에어시티, 교통망 확충 등 5가지를 패키지로 묶어서 추진하자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5가지 패키지 사업에 드는 비용은 군공항과 민간공항 건설에 10조8천억 원, 공항산단과 에어시티, 교통망 확충에 10조 원 등 20조 원 이상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내용의 특별법은 국민의힘 주호영 의원(대구 수성구갑)과 협의해 정리가 돼 발의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 관계자는 특별법 제정 때문에 공항건설이 늦어지는 것은 절대 아님을 이도지사를 찾아 특별법 수정안에 대한 설명할 계획이다.  포럼에서 이 도지사는 홍 시장과의 갈등으로 보여질 것을 우려해 확대해석에는 선을 그었지만 앞서 홍 시장이 대구경북행정통합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한 것을 두고는 "행정통합 안 하고는 안 될 것"이라고 작심 발언을 했다. 그러면서 "중앙정부에 공을 던졌다. 지금 대구시장과 경북지사가 왈가왈부할 상황이 아니다"며 행정통합은 그대로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도지사는 이날 수도권 일극 체제에서 벗어나 지방시대를 열어야 한다고도 했다. 그러기 위해선 문화, 예술, 교육, 의료, 교통 등의 인프라를 지방에서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기 대권 주자 양 광역단체장의 힘겨루기가 시작된 것 같다. 갈등의 발단은 홍준표 시장이 이철우 도지사가 추진해온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백지화시키면서 시작됐다. 대구경북통합신공항건설 마저 의견 차이로 늦어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