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정책으로 멈추었던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 소식에 울진군민들은 기대하는 분위기다.  신한울 3·4호기 원전 건설은 12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러한 내용을 담은 업무보고에서 재확인됐다.    세계시장을 석권해온 우리 원전기술은 지난 5년간 탈원전 정책으로 전문인력이 이탈되거나 사장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술인력 확보를 위해 2025년까지 석·박사급 에너지기술인력 3천 명을 양성해 혁신 성장의 인프라도 조성할 예정이다.  원전 업계는 그동안 원전 일감의 지속적인 축소에 따른 관련 기업의 매출액 감소와 인력 이탈 등 원전산업의 생태계가 위축돼 경영상 애로가 상당했다. 업계와 울진군민들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 폐기를 환영하고 신한울 3·4호기의 조속한 건설재개를 촉구했다.  신한울 3·4호기는 1천400메가와트(MW)급 원전 2기를 짓는 사업으로 계획이 2015년 확정돼 당초 올해와 내년에 각각 준공될 예정이었지만,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사업 추진이 전면 중단된 상태에 있다.  부존자원이 없는 우리나라는 원전밖에 대안이 없다고 판단한 윤석열 정부는 임기 내인 2025년에는 착공계획을 세웠으나 이보다 1년 앞당겨 2024년 착공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지난달 '원전산업 협력업체 지원대책' 발표를 통해 공급을 약속한 원전 일감을 확대해 1천300억 원 규모의 원전 예비품, 설비 개선, 신한울 3·4호기 설계 일감을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이러한 원전 확대 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원전 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30%로 확대한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아울러 원전산업 관련 금융·연구개발(R&D) 지원 규모를 연내에 1조 원 이상까지 확대하고, 2025년까지 1조 원 이상의 일감을 조기에 공급한다.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을 목표로 체코·폴란드 등을 중심으로 수주 역량도 결집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2030년까지 에너지 신산업 혁신을 선도할 '에너지혁신벤처'를 5천개 발굴하고 에너지 예비 유니콘을 10개 이상 육성해 양질의 일자리를 10만개 이상 창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산업부는 그간 공급 위주였던 에너지 정책을 수요 중심으로 전환해 에너지 다(多)소비·저효율 체제를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주변 세대·단지와의 전기 절감률 수준을 비교해 평균보다 높은 절감률을 달성할 경우 일정 부분을 환급해주는 '에너지캐쉬백' 제도를 전국으로 확대 도입하고, 에너지 다소비 기업 30개사와 효율 혁신 협약 등을 체결하는 등 적극적인 수요 효율화 정책을 추진한다. 문제는 물가 여건을 감안해 인상 요인을 점진적으로 반영하고, 전기요금의 시장 원칙 회복을 위해 전기위원회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강화해야 한다. 또 안정적인 하계 전력 수급을 위해 최대 9.2GW(기가와트)의 추가 예비자원 확보에도 나설 방침이다.  산업부는 에너지혁신벤처 투자 펀드와 창업 프로그램을 신설해 사업화 금융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미래 먹거리는 신한울 3·4호기에 성공 여부에 달렸다. 지난 정권의 신규 원전 건설 백지화의 쓴맛을 본 울진군민들의 기대가 큰 이유가 여기에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