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조기 건설에 여당 대표가 팔을 걷었지만 기대 반 우려 반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당 대표 직무대행은 20일 국회에서 가진 대구·경북 예산정책협의회에서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조기 착공을 위해 모든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대구·경북 예산정책협회의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홍준표 대구시장이 참석했다. 이에 홍준표 대구시장은 국민의힘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특별법 통과를 강력하게 촉구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대한민국이 수도권 병에 걸려서 이대로 가면 지방이 소멸 되는 건 물론이고 나라도 어렵다"고 경고했다. 이 도지사는 "어떻게 하면 지방을 좀 더 살릴 수 있을지 패키지로 예산을 주는 방안도 새롭게 검토해야 한다"고 주문해 눈길을 끌었다. 그러면서 "민선 8기에 경북에서 대한민국을 바꿀 수 있는 본을 많이 보이겠다"며 "그런 것들을 정책을 올리면 결정해 주는 예산정책 협의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번 예산정책협의회는 지방시대를 국정 목표로 내세운 새 정부 체제에서 첫 회의라 더욱 의미가 깊다.
이 도지사는 TK의 성공이 곧 윤석열 정부의 성공으로 이어지도록 의미 있는 예산을 국회에서 많이 반영해 달라고 당부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조기 착공을 공약 한바 있다. 이번 대구·경북 예산정책협의회에서 당 대표 직무대행을 통해 재확인되면서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권성동 국민의힘 당 대표 직무대행겸 원내대표는 예산정책협의회에서 "국민의힘도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신공항 조기 착공을 약속드린 만큼 지역민이 하루라도 빨리 편리하고 안전한 공항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모든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특별법 제정은 국회 다수당인 민주당의 협조가 필요한 만큼 야당과도 긴밀하게 소통하고 협조를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당 차원에서 원전 산업 육성에 대한 지원 약속도 이어갔다.
권 직무대행은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에 이어 원전 분야에 대서도 대규모 투자로 지역 경기 활성화를 약속했다. 월성원전과 한울원전 등 2개 대규모 원전단지가 있는 경북지역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권 대행은 "경북은 국내 최대 원전의 집적지"라며 "문재인 정부의 무리한 탈원전 추진으로 지역경제에 큰 타격을 입었다"고 주장했다. 권 대행은 "윤석열 정부는 원전 최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원전 R&D에 7500억 원 투자하기로 결정했고 지역에서도 기대가 큰 걸로 안다"고 말했다. 이밖에 국가 로봇 테스트 필드 사업,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메디밸리) 창업지원 센터 건립, 금호강 수변 개발 사업 등 지역 맞춤형 정책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권 대행이 통합신공항 조기 착공 언급에도 기대하지는 않는 이유는 정치인들의 말장난에 지쳤기 때문이다.
아무리 정권 초기기이라고 해도 대통령이 약속도 지켜지지 않는데 당 대표의 약속을 어디까지 믿어야 할지 의문이다. 권 대행은 대한민국이 수도권 병에 걸려 이대로 가다간 지방도시가 소멸될수 있다는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강한 메시지를 새겨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