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엑스포대공원이 공공기관 구조개혁에서 제외돼 시민들은 환영 일색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엑스포 독자경영에 변함이 없음을 재천명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경주가 잘 돼야 경북이 잘 된다. 문화엑스포를 시민의 품으로 돌려주겠다"는 취지의 뜻을 밝혔다.
문화엑스포는 그간 여러 차례 치러진 국제행사를 통해 세계적 수준의 역량과 전문성을 가진 기관으로 성장했다. 문화 엑스포 구조개혁은 엑스포가 가지는 지역적 상징성을 고려하지 않고 졸속으로 처리하면서 논란이 됐다. 1996년 출범한 엑스포는 26년 동안 도 산하 공공기관의 한 축을 담당해온 게 사실이다. 경주세계문화엑스포(1998),앙코르-경주세계문화엑스포(2006), 이스탄불-경주세계문화엑스포(2013), 호찌민-경주세계문화엑스포(2017) 등 굵직한 국제행사를 10회 이상 성공적으로 개최하면서 도민의 신뢰를 받아왔다. 한때 구성원이 60여 명에 달해 방만한 경영이라는 지적도 있었으나 지금은 원대 복귀시키고 정규직이 25명에 불과하다.
경북도의 공공기관 구조개혁은 조직의 군살을 빼고 예산 낭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따라 통합의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 관계 법령 등의 1차 적 검토를 거쳐 '공공기관 구조개혁 추진 방향'을 공론화한 바 있다. 그 안에는 문화재단, 콘텐츠진흥원, 문화 엑스포를 하나의 재단으로 묶는 방안이 포함돼 있었다. 구조개혁안은 이달 말까지 전문가 등을 포함한 실 국별 T/F 구성을 완료하고, 8월부터 구조개혁 타당성에 대한 세부적인 검토와 의회, 주민 의견 청취 등 모든 민주적 절차를 밟을 예정이었다. 일각에선 반발을 구실로 경북도가 문화 엑스포에서 손을 떼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하지만 엑스포 부지 소유권이 경북도와 경주시가 반반으로 현 상태로 유지할 수밖에 없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경주시민이 원한다면 문화엑스포를 시민 품에 돌려주겠다"며 경북도의회와 경주시에 제안한 이유는 단순히 경주시에 이관하기 위함은 아닌 것 같다. 일각에서 엑스포 관리 권한을 경주시에 넘기는 의미로 풀이될 수 있으나 엑스포 운영은 경북도가 관리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는 예산확보 때문이다. 폐통합 사실이 알려지자 경주시의회, 경주시민단체 천년미래포럼 회원(회장. 김은호, 전 경주상의회장)들이 거세게 항의했고 구조개혁에 엑스포를 포함 시킨 것은 보여주기식일 뿐 발상이 잘못됐다는 지적을 내놓았다.
통합 시 경북도와 경주지역과의 갈등, 기관의 이질성, 업무 비효율성 등 후폭풍이 일 수 있다는 지적에도 이를 외면해 사태를 키웠다. 배진석 경북도의원(경주)도 지난 22일 도의회 5분 발언에서 "도민과 소통 없이 공공기관 구조개혁을 추진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상황이 이런 만큼 경북도는 문화재단-문화엑스포 통합 방안 결정에 앞서 의회와 주민 의견을 충분히 들은 이후 방향을 정했어야 했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경북도 문화관광을 도맡아 홍보해온 엑스포에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이번 엑스포의 구조개혁에서 제외는 이철우 경북도지사 고뇌에 찬 결단이다. 배진석 경북도의원의 5분 발언과 경주시민들의 요구가 헛되지 않게 도의회와 경주시의 회는 지혜를 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