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인 국민의힘이 내홍으로 사면초가다. 우여곡절 끝에 탄생된 비상대책위원회마저 2주 만에 막을 내리면서 '권성동 직무대행체제' 재전환으로 방침을 정하자 이마저 여론이 급속도로 악화되는 모양새이다.
 
여기에 이준석 전 대표는 언론 인터뷰에서 "무리수를 덮으려 또 다른 무리수를 일으키지 않았으면 좋겠다"라고 경고하고 나셨다. 이 전 대표 측 인사들은 추가 대응 의지도 시사했다. 결국 이러한 상황 수습의 키는 권 원내대표에게 있다는 목소리가 나라다.
 
정치권 관계자는 "국민의힘 내분 사태는 '이준석 사태'에서 '권성동 사태'로 이동하는 상황이 뚜렷해지고 있다"라는 분석이다. 상황이 이쯤 되면 "권 원내대표가 여론을 돌릴 수 있는 정치적 묘를 발휘해 상황을 매듭지어야 한다"라는 말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국민의힘은 대선 예비후보가 역대 가장 많았던 정당이 아닌가. 사공이 많아서인지 배가 산으로 올라가는 꼴이다. 책임질 사람들이 원망만 쏟아낸다. 과연 오늘의 사태는 누구의 책임인가.
 
'사퇴 여론' 압박에 권 원내대표는 새 비대위 출범 이후 거취를 표명하겠다며 '자진 사퇴'를 시사하기도 했지만, 그러면 "당 수습은 누가 하냐"라는 반론도 제기되어 있어 혼란한 상황이다. 다만 국민의힘이 새로운 비상대책위원회를 추석 이전에 구성하기로 한 만큼 권 원내대표가 추석 전인 다음 달 8일쯤 자진 사퇴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권 원내대표는 지난 29일 국회 비대위 회의에서 "의원총회에서 밝혔듯 원내대표로서 제 거취는 새 비대위 구성 후 제가 스스로 결정 하겠다"라고 말했다. 원내대표직을 계속 유지할지 자진 사퇴할지에 대해서 스스로 판단한 뒤 입장을 밝히겠다는 뜻이다.
 
사실상 새 비대위 구성 후 '자진 사퇴' 쪽으로 해석되는 데 무게가 실린다. 다만 새 비대위를 꾸리기 위해 '권성동 직무대행체제'가 필요하다는 '당위성'을 설명하기도 했다. 법원이 주호영 비대위원장에게 직무 정지 결정을 내린 데 따라 리더가 부재한 상황에서 당장 의결할 수 있는 주체가 없기 때문에 직대체제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권 원내대표와 함께 원조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으로 꼽히는 장제원 의원도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이 권성동 원내대표를 향한 사퇴 압박이 제기되는 데 대해 "아니 그럼 당 수습은 누가 하죠. 새로운 비대위를 출범시키기로 했는데 새로운 비대위를 출범시킬 사람이 없지 않느냐"라고 말했다. 긴급 의총까지 열어 다수 의원들이 결의한 입장문이 있으니, 그대로 하면 될 것이란 주장이다.
 
반면 당내 일부 의원들은 권 원내대표가 사퇴하고 새 원내대표 체제에서 비대위가 꾸려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윤상현·최재형·유의동 의원은 이날 국회 기자회견을 갖고 권 원내대표의 자진 사퇴와 최고위원회 복원을 촉구했다. 안철수 의원도 권 원내대표가 사퇴하고 새 원내대표를 선출해 당 대표 직무대행 체제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태 수습은 보수 대통령 탄생 1등 공신 권성동 원내대표와 윤핵관 결단에 달렸다. 소위 윤핵관은 윤 정부의 반환점이 되어 입성해 두루 요직을 맡아 성공한 정부로 마무리하는데 혼신이 힘을 쏟아야 한다. 지금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