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은 침체 된 포항지역 지역경제 활성화에 획기적인 계기가 되고 있다. 태풍이 할퀴고 간 포항철강공단 업체들은 예상외로 피해가 컸지만 재난지원금을 비롯한 직접적 피해 지원이 없어 임시복구에 엄청난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철강업계는 수해복구에 필요한 장비와 복구비와 인건비가 엄청나 실질적인 지원을 간절히 바라고 있는 터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은 가뭄에 단비를 내려주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번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통해 하루빨리 지역 철강산업계를 비롯한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획기적인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철강업체들이 극도로 어려운 상황에서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지정 확정은 불의에 닥친 태풍으로 실의에 빠진 철강업계에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정부의 신속한 대응은 포항의 피해 상황이 심각하다고 인식했기 때문일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부는 산업위기 선제대응으로 지정 있기까지 발 빠르게 움직였다.  경북도, 포항시는 철강업계의 절박한 사연들을 관계요로에 건의했고 건의를 받은 산자부가 주축이 돼 지난달 6일 산업부-포항시 실무회의, 27일 관계부처 회의, 28일 합동실사단 포항 현지 실사 등으로 속도를 내 31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에 따라 긴급경영안정자금 최대 지원, 대출 만기 연장, 상환 유예 등 금융 지원을 받게 된다. 이밖에 지방투자촉진보조금 기본 지원비율을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과 동일 수준으로 조정하게 된다. 지정 기간은 31일부터 2024년 10월 30일까지 2년이지만 철강업계 난제들이 하나씩 해결되면서 업계는 기대에 부풀어 있다.  아직 국회 심의가 남아있긴 하지만 선제대응 지정 이후 철강업계에 주어지는 각종 혜택은 철강산업 회복력 강화와 구조 전환, 신산업화 촉진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아울러 뀬기업 위기 극복 지원 뀬철강산업단지 재해 예방 인프라 구축 뀬단기 R&D 및 사업화 뀬철강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등이 본격 추진된다. 국회는 산자부의 안을 심의과정을 걸쳐 예산을 반영과 함께 지원내용이 확정될 예정이다. 포항시와 경북도는 이번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이 우리나라 발전을 이끌어온 포항 철강산업이 어려움을 이겨내고 다시 활력을 얻어 재도약할 기회가 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강덕 포항시장, 지역 출신 국회의원 등은 지정이 있기까지 노력이 컷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태풍피해 직후 현장에 대용량방사포를 신속하게 투입해 아파트 지하주차장 인명구조와 포스코 침수피해 최소화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상주에서 열린 제9차 비상경제 민생회의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에게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을 건의하면서 포항의 위기 극복에 앞장서 왔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지역 출신 국회의원과 정치권과 여당 원내대표, 추경호 경제부총리,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국회 산자위 소속 의원 등을 연이어 만나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끌어내는 쾌거를 이룩했다.  대내외 어려운 상황에서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정은 철강산업에 희망을 안겨주고 있다. 사업위기 선제대응 지정은 철강업계가 마지막 희망이다. 정부는 선제대응지정에 만족하지 말고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게 총력을 쏟아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