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제5차 법정 문화도시 최종 선정에 행정력을 쏟고 있다. 세계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역사 도시 경주는 법정 문화도시 지정 요건은 모두 갖추었다고 본다. 경주시의 문화도시 선정은 문화적 자산을 넓히고 지역 특색을 살린 문화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의지다.
법정 문화도시에 지정될 경우 5년간 국비를 포함한 100억 원에서 최대 200억 원 지원받는다. 이를 위해서는 단계적인 인프라 확대와 함께 지속적인 의지와 투자가 축적돼야 한다. 문화체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법정 문화도시 사업은 문화 자산을 활용해 지역 스스로 도시의 문화 환경을 기획·실현하고 브랜드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문화도시가 되려면 시민이 누구나 찾아올 수 있는 문화거점을 만들어 시민들이 직접 기획하는 문화도시를 구상하는 데 역점을 둬야 한다.
문체부의 최종평가는 문화도시 추진 필요성 및 방향의 적정성, 조성계획의 타당성, 문화도시 실현 가능성, 지자체 간 관련 사업 연계와 협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정한다. 이미 법정 문화도시에 지정된 포항시를 비롯한 도시들은 지역의 고유한 역사적·문화적 특화 자원을 활용해 쇠퇴한 도심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고 지역 주민의 통합을 도모하겠다는 의지를 보여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이 지역들은 문화도시로 지정받기 위해 급하게 준비한 곳이 아닌 지속적인 관심 속에 문화인프라를 구축해 이 같은 결실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법정 문화도시에 지정되려면 우선 지역의 난개발지역을 문화공간으로 조성함으로써 문화도시를 통한 도시 재생이 필요하다. 생활문화를 기반으로 한 알찬 문화교육 프로그램과 각 계 각층이 참여하는 사업추진단을 확대 해야 한다. 이렇듯 문화예술인들은 법정 문화도시 지정에 상당한 관심을 보이는 것은 문화도시로 지정받은 지역 가운데 이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곳이 많기 때문이다. 지정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꾸준한 관심과 투자가 이뤄져야 진정한 문화도시로 두각을 나타낼 수 있고 좋은 평가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제3차 문화도시 공모사업에서 쓴맛을 본 경주시는 제5차에는 미비점을 보완하여 지정받겠다는 각오가 당차다. 일부 문화예술인은 시가 '법정 문화도시' 자격에만 연연하는 것 아니냐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지속적인 문화인프라 구축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