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 대학자 퇴계 선생이 지방시대 선구자로 추앙받고 있다. 경북도가 지방시대 대전환을 위해 지방시대를 혁명으로 이끈 퇴계 선생의 귀향길 재현행사에 나셨다. 이번 퇴계 선생 지방시대 새 역사 드라마 연출은 획기적인 아이디어로 중앙정부를 감탄케 했다,  경북도와 안동시, 도산서원은 퇴계 선생의 가르침을 지방 혁명의 시대정신으로 살리고자 27일 서울 경복궁 사정전에서 퇴계 선생 귀향길 재현 개막식과 함께 4월9일까지 14일간의 여정에 발걸음을 뗐다. 45명으로 구성된 재현단은 경복궁에서 선조에게 하직 인사를 하고 귀향길에 오르면서 도산서원까지 총 270㎞ 퇴계 선생의 발자취를 따라 진정한 지방시대를 개척한 선생의 참뜻을 되새겼다.  재현단은 서울을 출발해 경기도(남양주, 양평, 여주), 강원도(원주), 충북도(충주, 제천, 단양), 경북도(영주, 안동) 등 5개 광역자치단체를 걸어서 역사유적·문화유산을 재발견하는 시간을 가진다. 경북도는 이번 재현행사를 통해 수도권 집중 해소와 지방정부 권한 이양으로 교육 혁명, 일자리 혁명 주도하고 지역 특화형 비자 및 광역 비자 제도를 통한 지방 주도형 외국인 정책 선도에 나선다. 사회통합을 통한 외국인 공통 체 구현으로 대한민국의 판을 바꾼다. 이는 퇴계 선생의 서원 운동과 동일한 맥락에서 볼 수 있다.  퇴계 선생은 지방에 내려와 서원을 만들면서 유능한 인재들이 지방으로 모였고 그로 인해 인구가 늘고 지역경제가 번영하기 시작했다. 퇴계 귀향길 행사를 통해 지방시대 선구자인 선생의 가르침을 되새기고 지방시대를 이끌어 가는 정신적 토대로 의미가 크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퇴계 선생 마지막 귀향길'을 통해 실천과 공경, 배려, 존중의 선비정신을 실천하자고 강조했다. 선생은 서원을 통한 지방 인재 양성, 지역공동체 형성, 지방인구 유입 등 지방시대에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이 도지사는 퇴계 선생의 가르침을 되새겨 지방시대를 열어가는 제2 퇴계혁명의 정신으로 계승·발전시켜 나가겠다는 각오가 당차다.  경북도는 지방소멸의 악순환을 끊어내려는 진지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퇴계 선생의 귀향길 재현행사는 지방시대를 이끌어가는 한 정신의 축이 되고 있다. 16세기 한양으로 쏠리던 국가의 자원과 인재를 서원 운동을 통해 지방으로 되돌려 놓은 퇴계 선생 정신이 높은 뜻은 후세에 교훈이 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