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29일 신한울 3·4호기 주기기 계약이 체결돼 약 2조9000억원 규모의 기자재 제작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중단됐던 신한울 3·4호기의 건설이 새롭게 시작될 전망이다. 정부의 이 같은 방침은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했던 "원전 정책을 정상화하겠다"고 한 약속을 이행하는 것이다.
산업부는 이밖에도 탈원전으로 말미암아 경영난을 겪고 있는 원전 관련기업에 총 2000억원 규모를 3~5% 금리로 지원하는 저금리 금융프로그램을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이번 대책으로 원전기업들이 다시 도약하고 원전 생태계의 복원은 물론 건설이 중단돼 어려움을 겪었던 울진군과 경북도의 지역경제 활성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신한울 3·4호기의 주기기 계약은 신한울 3·4호기 건설이 탄력을 받는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정부의 계획대로라면 올해 상반기 이내에 환경영향평가를 완료하고 7월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 승인 및 후속 부지정지 공사에 착수할 수 있다. 그럴 경우 2032년~2033년 완공을 콕표로 하는 건설사업이 차질없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계약으로 원전산업계에 10년간 약 2조9000억원에 이르는 일감이 공급된다. 산업 전반에 어려움이 닥친 현실에서 최소한 원전산업계에서는 다소간의 여유가 생기는 셈이다.
산업부의 고위 관계자는 "일단 올해 전원 개발 사업이 실시되면 착공에 착수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물론 여기에는 원자력안전위원회 승인과정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산업부와 원안위의 긴밀한 협조가 불가피하다.
이번 결정은 우리 정부의 원전 생태계 복원의 거시적인 로드맵의 일환이기도 하지만 우리 경북지역의 경우에는 가뭄의 단비로 여겨질 수 있다. 신한울 3·4호기의 정상적인 건설이 이뤄지고 여기에 따른 지역경제가 활성화된다면 경북이 지방시대를 선도한다는 큰 그림에 무한한 응원군을 얻는 격이 될 수 있다. 경북은 그동안 침체된 경제적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펴왔지만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는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 분명하고 거기에 울진군은 물론 경북도민이 거는 기대가 적지 않다. 산업부와 원안위의 깊이 있는 협조로 신한울 3·4회 건설 재개 계획이 순탄하기 이뤄지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