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6일 부산 BEXCO에서 열린 제55차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에서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지원을 위한 공동결의문 채택을 주도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17개 시도지사들의 모임인 시도지사협의회장을 맡고 있다.  2030부산세계박람회는 부산만의 행사가 아니라 17개 시도가 공동으로 개최한다는 각오로 임해야 한다는 이철우 도지사의 설명이다. 이 도지사는 지방정부는 가능한 모든 외교역량을 모아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성공이 지방과 중앙의 새로운 협력모델이 되고 지방시대 정신을 전 세계와 공유하고 확산하는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방정부 4대 협의체 공동결의문에는 국내외 행사에 유치 홍보, 국민적 공감대 확보와 지방정부 외교 역량 결집, 170개 회원국 유치지지를 유도하도록 했다.  또 세계박람회 유치를 통한 국가균형발전과 지방시대 성공 노력, 지방과 중앙의 공동 노력, 새로운 협력 모델 창출 등을 공동결의문에 담았다.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성공하게 될 경우 1893년 시카고 엑스포 첫 참가 이후 137년 만에 세계 12번째, 아시아 4번째 '등록엑스포'개최며, 3대 메가 이벤트인 올림픽·월드컵·등록엑스포를 모두 개최하는 세계 7번째 국가가 된다. 눈에 띄는 것은 시도지사협의회 행사기간에 실시된 2030월드엑스포 개최 도시 선정을 위한 부산 현지를 찾은 실사단의 바쁜 움직임이다.  실사단은 4일 부산역에 도착한 후 7일 김해국제공항을 통해 떠날 때까지 3박4일 동안 엑스포를 위해 준비된 부산의 모습과 시민들의 유치 열기를 온몸으로 실감했다. 실사단 일정은 한덕수 총리 주재의 환송 만찬참여를 끝으로 성공리에 마무리했다. 광안리해수욕장에서 진행된 엑스포 불꽃쇼에 참관한 실사단은 표정들이 만족했다. 불꽃쇼에 참가하기 앞서 6일 실사단 일행은 참전 용사의 손녀로 불리는 캠벨 에이시아의 안내로 세계 유일의 유엔기념공원을 둘러보며 국제 연대와 세계 평화의 의미를 되새겼다.  여기서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전에 뛰어든 배경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유치에 적극성을 보인 것은 시도지사협의회장 입장에서만은 아닌 것 같다. 오는 11월 비슷한 시기에 선정되는 부산엑스포와 함께 2025 세계정상회의 APEC 경주 유치 꿈도 꼭 이뤄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했기 때문이란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APEC 유치 경쟁상대 부산시도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지혜에 감탄할 수밖에 없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