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특별법 통과에 정치인들이 앞 다투어 1등 공신임을 자랑하고 있는 가운데 환영해야할 의군민들은 시큰둥한 반응이다. 군민들은 민항과 군 공항시설이 함께 운영되면서 소음공해만 안겨줄 뿐 무슨 실속이 있느냐며 반발하고 있다.
인접 군위는 대구시에 편입되고 중요시설 알짜배기는 모두 가져갔지만 의성은 소음공해뿐이라고 하소연한다. 공항이 들어서면 의성이 천지개백 될 것처럼 했지만 돌아오는 것은 군민들의 삶에 질만 떨어질 수밖에 없는 소음 공해뿐이 여서 딱한 처지가 되었다고 울상 짓고 있다. 일부 군민들은 의성군수에게 화살을 돌렸다. 군수의 무능에서 신공항 정책이 후순위 밀린 것이 아닌지 질책이 쏟아진다. 가장 피해가 많은 지역이 신공항이 들어설 인접지역 의성군 비안면 화신1리다. 이지역 주민들은 군사공항 소음피해를 크게 우려하고 있다.
이곳 주민들은 이주대책부터 세우라고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의성군도 당초 약속한 인센티브를 지키지 않은데 대한 불만이 이만저만 아니다. 대구경북신공항 특별법 통과로 항공물류·정비 산업단지, 농식품산업클러스터, 관광문화단지 조성사업에 가속이 붙을 전망이지만 유치당시 의성군에 약속된 항공물류단지와 농식품산업클러스터 시설이 군위 쪽에 치우쳐 있다는 지적이다. 두 시설의 성공 핵심 키가 될 민간공항 화물터미널은 의성·군위 접경에서 군위군 쪽에 크게 치우쳐 배치될 것으로 전해졌기 때문이다.
의성군 쪽에 돌아오는 것은 군부대 정문, 영내 주거시설, 복지·체육시설 등이 배치된 것이 고작이라는 불평이다. 의성군과 군민들은 특별법 통과에도 분위기가 심상치 않은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의성군민들을 달랠 인센티브가 절실한 실정이다. 군위 의성 신공항 건설 국회통과 소식을 들은 경주를 비롯한 경북남부지역 주민들은 가까운 거리의 대구 국제공항을 이용하지 못한데 대해 아쉬워했다. 경북 남부지역 주민들은 대구공항과 1시간 거리의 김해국제공항을 이용해 왔기 때문에 신공항 건설에 무덤덤한 표정이다.
경북도가 바빠졌다. 이미 대구광역시에 편입된 군위는 대구시에 맡기고 의성군에 큰 프로젝트를 찾아나서야 한다. 항공물류단지와 농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의성에 배치토록 해야 한다. 공항진입로도 의성쪽에 설치해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의성군민의 애절한 사연을 정부 당국과 대구시, 경북도는 팔을 걷어 해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