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 이전지 신도시 활성화 사업이 지지부진해서는 안 된다. 이전지에 산업시설이 조성되고 지속 가능한 도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민간자본유치가 필수이다.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각종 편의시설 확충에 필요한 부지도 제때 공급돼야 한다.  경북도가 도청 이전 신도시의 활성화와 도시환경개선을 위해 12차례나 개발계획이 세워진 것은 당초 계획에 청신호로 볼 수 없다. 2단계 실시계획과 변경 승인도 추진 중이다.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는 10.966㎢ 부지 내 계획인구 10만 명으로 안동시 버금가는 신도시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2015년 4.258㎢ 규모에 1조429억 원을 들여 인구 2만 5000여 명이 정주할 수 있는 행정기능 중심의 1단계 도시기반시설 조성을 완료했다. 올 3월 말 기준 상주인구는 2만 6000여 명으로 추정될 뿐 신도시 인구 유입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  경북도가 진행 중인 2단계 사업은 2015년부터 2024년까지 7만 50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주거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에 따른 문화, 체육, 호텔, 공원, 학교시설을 비롯한 주민편의 시설 조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마무리 계획 년도 3단계 사업은 2024년부터 2027년까지 산업시설, 공원, 유보지 등을 포함했다. 이번 주요 변경사항은 신도시 자족 기능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구역 조정이다. 2단계 사업지구 내 산업시설 조성을 위해 3단계 사업구역 일부를 2단계로 편입(A=25만3283.5㎡)하고, 장래 도시발전에 대비해 다양한 규모의 유보용지 6개소를 분산 확보했다.  더 나은 정주 환경 조성을 위해 학교 배치계획의 최적화로 교육특화도시 조성, 공원·녹지계획 변경으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호민지 북측 도로 직선화에 이어 도로기능개선과 공동주택 최고층수 상향 조정을 통해 쾌적한 정주 환경이 조성된다.   또 기조성된 호민지 수변 생태공원과 더불어 임상이 양호한 원형보전구역을 근린공원으로 신규 지정하고, 호민지 경관을 활용해 주상복합, 특화 상업, 특화 주거 기능을 부여해 생기 넘치는 도시를 만든다는 야심 찬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변경을 통해 도청 이전 신도시의 산업시설을 조성해 지속 가능한 도시를 구현해야 한다. 필요한 부지도 차질없이 공급해야 한다. 신도시 활성화는 무엇보다 유관기관이 몰려들어야 한다. 사업 성공은 민간자본 유치에 달려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