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후 세 번째 특별사면을 단행했다. '경제 활성화'에 사면의 방점이 찍히면서 기업인들도 대거 경영 현장에 복귀할 수 있게 됐다.   정부는 중소기업인·소상공인 등 일반 형사범과 경제인, 정치인 등 2천176명에 대해 15일자로 '광복절 특별사면'을 단행한다고 14일 밝혔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특사 명단을 발표하면서 "서민 경제가 어려운 점을 고려해 경제 살리기에 중점을 뒀다"며 "국가 경제 전반의 활력을 회복해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정치·사회적 갈등을 해소해 국가적 화합을 이룰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특사 명단에는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 특별감찰반의 감찰 무마 의혹을 폭로한 김태우 전 서울 강서구청장, 각종 특혜 외압을 행사한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은 강만수 전 기획재정부 장관을 포함해 7명의 정치인과 고위공직자가 포함됐다.   다만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태와 관련한 인사들은 모두 제외됐다.   경제위기 극복 및 국가경쟁력 제고에 초점을 맞춤에 따라 이날 사면 및 복권된 기업인은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명예회장, 신영자 전 롯데장학재단 이사장,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 이장한 종근당 회장, 강정석 전 동아쏘시오홀딩스 회장을 포함한 12명이다.    중소기업인·소상공인 74명과 기업임직원 19명도 사면·복권됐다.   정부는 “적극적인 기술 투자와 고용 창출로 우리나라의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주도하는 주요 경제인들에게 사면을 통해 우리나라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이밖에 정부는 코로나19 종식에 따른 일상의 완전한 회복을 위해 경미한 방역수칙 위반 사범들을 사면했다. 팬데믹으로 인한 일시적 자금 사정 악화 등으로 처벌받은 중소기업·소상공인도 사면 대상에 포함됐다. 사회적 약자 배려 차원에서 고령자, 서민생계형 형사범, 간병살인 사범 등도 사면 명단에 올랐다.아울러 소프트웨어업, 정보통신공사업, 여객·화물 운송업, 생계형 어업인, 운전면허 등 행정제재 대상자 총 81만1천978명에 대한 특별감면 조치를 함께 시행하고, 모범수 821명을 가석방하기로 했다.   조국 전 장관의 부인인 정경심 전 동양대 교수에 대한 사면도 검토는 됐으나 현재 가족들의 재판이 진행 중이라는 점이 고려돼 제외됐다고 한다.다만 총선을 앞두고 올해 연말 신년 특별사면에 또다시 정치인들이 대거 포함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