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서민정책특별위원장을 맡고 있는 홍준표 최고위원은 26일 "정부가 제대로 친서민 정책을 시행하려면 경제구조와 금융구조부터 개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가 최근 약 1년간 친서민 정책을 쭉 내세웠지만, 국민들은 아무도 이 정부를 친서민 정부로 보고있지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최근 삼성전자 등 대기업들이 사상 최고의 수출실적과 최대 이윤을 기록했다고 하지만, 중소기업과 서민들은 정말 힘들게 살고 있다"며 "이것은 경제 구조가 잘못됐기 때문이고, 수출의 효과를 중소기업과 서민이 누리지 못하고 대기업 금고에만 돈이 몰려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홍 최고위원은 이어 "미국도 이미 오바마 정부 들어서 월가의 도덕적 해이를 문제삼아 관치금융으로 전환했다"며 "서민을 위한 관치금융이라면, 아무리 시행해도 반대하는 사람이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민들에게 골고루 혜택이 돌아가지 않고 일방적으로 대기업과 대금융권에만 이익이 가는 구조로는 정의로운 나라가 될 수 없다"며 "서민정책특위 안에 금융구조개선소위원회와 서민경제구조개선소위원회를 두겠다"고 밝혔다. 서병수 최고위원도 "중소기업이나 서민들에게 피부에 와닿는 실질적인 현상들은 전혀 일어나지 않으면서, 이로 인한 박탈감으로 중산층이 허물어지고 빈공층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이 부분에 대해 한나라당이 정책을 강화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최고위원은 이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하고 중소기업이 발전하는 것이 일자리 창출과 국가의 경제발전에 훨씬 도움이 된다"며 "중소기업정책을 강화하면서 대기업에게는 정부가 간섭하는 식으로 정책방향을 선회하더라도 제대로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